1988년 예술의 전당 및 국악당 개관식이 있었습니다.
2012년 총 관객 4천만 명을 돌파하는 등 명실상부한 국내 대표 예술기관으로 상징되는 예술의전당은 공연·전시·놀이·교육·자료·연구 등 6가지 형태가 다양한 예술 장르로 연결, 각각의 전문공간에서 표현되어 공간별 독자성과 연계성을 유지하도록 짜여 있으며 예술의전당이 자체기획한 공연·전시와 함께 일반 공연단체에게 대관을 통해 운영되고 있다.
1114년 비로 인해 연등 대회를 중지함 - 고려사
1272년 전함병량도감과 전함조성도감을 설치함 - 고려사
1356년 원 황제가 기황후의 3대 조상에게 공신시호와 왕작을 추증하도록 명령함 - 중국사서
1360년 함종에서 홍건적을 격퇴함 - 고려사
1361년 왕이 어사대의 반대에도 이자춘을 동북면병마사에 임명함 - 고려사
1365년 휘의공주(노국공주)가 사망함 - 고려사
1393년 국호를 조선으로 정함 - 조선왕조실록
1402년 태종 어용 및 좌명공신들의 영정을 그리게 함 - 조선왕조실록
1412년 한양의 개천(청계천) 공사가 끝남 - 조선왕조실록
1422년 전주·남원 등지에 지진이 남 - 조선왕조실록
1426년 한양에 큰 불이 남 - 조선왕조실록
1442년 사찰의 창건 및 중건을 제한함 - 조선왕조실록
1443년 《삼강행실계주서》를 함길도 각 고을에 보냄 - 조선왕조실록
1467년 세조가 규형(窺衡, 거리와 높낮이를 재는 기구)을 새로 만듦 - 조선왕조실록
1490년 《동래역대사상절(東萊歷代史詳絶)》·《육가신어(陸賈新語)》·《초한춘추(楚漢春秋)》 등의 여러 서적을 민간에서 구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493년 내의원 주부 허저가 《의방요록(醫方要錄)》을 편찬함 - 조선왕조실록
1497년 노국 대장 공주(고려 공민왕 비)의 초상화를 궁궐로 가져오게 함 - 조선왕조실록
1623년 동래 왜관에 화재가 나서 80칸이 모두 불에 탐 - 조선왕조실록
1624년 이괄이 살해됨 - 조선왕조실록
1671년 제주도에서 동사·아사·전염병 사망자 437명으로 집계 - 조선왕조실록
1741년 문신 30세 이상에게 한어(漢語, 중국어)를 가르치고 40세 이하에게 이문(吏文, 공문서에 쓰던 문체)을 강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46년 통진의 읍치를 문수 산성으로 옮겨 설치함 - 조선왕조실록
1754년 과거장에 책을 가져오고 수행원이 입장하는 것을 금지함 - 조선왕조실록
1757년 영조의 비 정성 왕후 서씨 승하함 - 조선왕조실록
1758년 《상례보편(喪禮補編)》을 편집할 수 있도록 설국(設局, 담당 관청을 개설함)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82년 왕의 능침을 범하지 말 것을 엄하게 경계함 - 조선왕조실록
1854년 가작전환(加作錢還, 환곡 출납 시 이자를 규정보다 더 받아들이는 것)과 가분(加分, 환곡을 규정 수량보다 더 빌려주는 것)의 폐단을 금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864년 개성 유수, 평안도·황해 관찰사에게 청의 밀무역 금지 지시 - 근대사 연표
1880년 일본 외무성, 동경 외국어 학교 조선어 학교 설치, 육해군 위탁생과 일반 학생에게 한국어 교육 - 근대사 연표
1894년 동학 교도와 농민군, 고부 백산 봉기(동학 농민 운동 발발) - 근대사 연표
1896년 일본 유학생들, 도쿄에서 최초의 잡지 『친목회회보』(발행인 최상돈) 창간 - 근대사 연표
1905년 임진강 철교 준공 - 근대사 연표
1906년 을사늑약 체결 이후 해외 한국인은 현지 일본 영사의 보호를 받을 것 발표 - 근대사 연표
1909년 대한인 국민회 하와이 지방 총회, 『한인합성신보』 인수, 『신한국보』(주필 홍종표) 창간 - 근대사 연표
1912년 조선총독부, 제생원에 맹아부 개설 - 근대사 연표
1927년 서울 YMCA에서 민족 운동 단일체 신간회(회장 리상재, 부회장 홍명희) 창립 - 근대사 연표
1934년 조선 어학 연구회 기관지, 『정음(正音)』 간행 - 근대사 연표
1946년 일본군, 제주에서 철수 완료 - 대한민국사 연표
1947년 문교부, 대학 총장과 이사회 직원·교수 등에 한국인 임명 지시 - 대한민국사 연표
1949년 이승만 대통령,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 특경대 폐지 등 〈반민족 행위 처벌법〉 개정 관련 담화 - 대한민국사 연표
1953년 제1차 화폐 개혁, 원(圓)을 환(圜)으로 100:1 평가 절하 - 대한민국사 연표
1956년 지방 자치법 공포 - 대한민국사 연표
1958년 대한 국민 항공(KNA) 창랑호 여객기 납북(3.6. 송환) - 대한민국사 연표
1967년 보사부, 연 2회 이상 기생충 검사 실시 결정 - 대한민국사 연표
1981년 서울시, 15층 이내의 4대문 안 고도 제한 해제 결정 - 대한민국사 연표
1981년 북한 김일성 주석, 평양에서 프랑스 사회당 위원장 미테랑과 회담 - 대한민국사 연표
1988년 대검찰청, 이적 목적 아닌 공산권 교류는 〈국가보안법〉 처벌 대상에서 제외한다는 지침 시달 - 대한민국사 연표
1988년 예술의 전당 및 국악당 개관식 - 대한민국사 연표
1995년 경기도, 1995학년도 2학기부터 28개 초등학교 주 5일제 수업 실시 결정 - 대한민국사 연표
2000년 식품 의약품 안전청, 산모 초유에서 다이옥신 다량 검출 발표 및 환경 호르몬 유해성 인정 - 대한민국사 연표
2003년 한국·칠레, 〈자유 무역 협정〉에 공식 서명 - 대한민국사 연표
2004년 전북 부안 위도 원전 수거물 관리 시설 유치 찬반 투표 실시, 91.8% 반대 - 대한민국사 연표
2007년 국가보훈처, 친일파 후손 40여 명의 토지 270만 평 환수 추진 - 대한민국사 연표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역사] 2월 14일 (0) | 2025.02.14 |
---|---|
[오늘의 역사] 2월 13일 (1) | 2025.02.13 |
[오늘의 역사] 2월 11일 (1) | 2025.02.11 |
[오늘의 역사] 2월 10일 (1) | 2025.02.10 |
[오늘의 역사] 2월 9일 (2) | 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