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8년 김구가 '3천만 동포에게 읍고함'을 발표하였습니다.
북한의 방해로 UN 한국임시위원단의 북한에 대한 인구조사가 불가능해지면서 남북한 총선거가 사실상 어려워집니다. 남한 단독만으로 단독 선거를 치루자는 분위기가 고조되자 김구는 3천만 동포에게 울면서 말합니다. "나는 통일된 조국을 건설하려다가 38도선을 베고 쓰러질지언정 인신에 구차한 안일을 취하여 단독정부를 세우는 데는 협력하지 아니하겠다."
1058년 염주·해주·안주의 군기용 철을 흥왕사 창건비로 제공함 - 고려사
1103년 연등회를 열고 왕이 봉은사에 행차함 - 고려사
1272년 세자가 일본 정벌을 이유로 단사과 부카 등과 귀국함 - 고려사
1277년 첨의부에서 공주의 요속들에 대한 특권 환수를 요청함 - 고려사
1412년 시전 행랑 800여 칸의 터를 닦음 - 조선왕조실록
1426년 화주를 영흥 대도호부로 승격시킴 - 조선왕조실록
1458년 흉년으로 성균관 정원을 100명 줄임 - 조선왕조실록
1477년 청화기(靑畫器) 등 중국 물품의 교역 금지를 강화함 - 조선왕조실록
1487년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을 간행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523년 황해도에서 난을 일으킨 사람들의 처리 문제를 논의함 - 조선왕조실록
1530년 공을 세우기에 급급해 변방에 혼란에 일으킨 평안도 장수들을 처벌함 - 조선왕조실록
1614년 강화 부사 정항이 영창 대군 이의를 죽임 - 조선왕조실록
1659년 이이의 서원에 사액함 - 조선왕조실록
1676년 정금의 난에 대비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39년 서얼 출신 무인도 수문장이 될 수 있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75년 동전 주조의 폐단을 논의함 - 조선왕조실록
1806년 과장(科場)의 폐단을 신칙함 - 조선왕조실록
1812년 황해도의 삼세(三稅)와 경기 지역 기근이 심한 고을의 징세를 추수 때까지 연기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814년 병기의 사적 제조와 매매를 금지함 - 조선왕조실록
1818년 폐사군(廢四郡) 안의 수절동(水節洞) 개간을 허용함 - 조선왕조실록
1822년 준천법을 엄격히 지킬 것을 명하고 금위영과 어영청의 번 서는 대신 군전을 거두는 일을 금지함 - 조선왕조실록
1832년 법관의 부정을 엄중히 단속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834년 흉년으로 절약 검소를 강조하고 무당을 도성 밖으로 내쫓게 함 - 조선왕조실록
1848년 과거의 폐단이 커서 과거를 주관하는 관리를 엄격히 다스릴 것을 명함 - 조선왕조실록
1848년 성균관의 수리를 명함 - 조선왕조실록
1858년 철종이 모화관에 나아가 청나라에서 온 칙사를 영접함 - 조선왕조실록
1864년 비변사 축소, 외교·국방·치안 만 담당 - 근대사 연표
1877년 일본인 경영의 부산 제생의원, 매월 15일 종두 실시 고시 - 근대사 연표
1909년 대한인 국민회·공립신보·대동공보 통합, 〈신한민보〉(발행인 최정익, 인쇄 전성덕)로 개칭, 발간 - 근대사 연표
1919년 최린, 3·1 운동 거사에 불교측 인사로 한용운 참가를 약속받음 - 근대사 연표
1924년 부산에서 형평사 전국 대회 개최, 아동 입학 등 결의 - 근대사 연표
1927년 조선어 연구회, 기관지 『한글』 창간 - 근대사 연표
1928년 조선 음악 협회 조직, 조선 음악의 부흥 운동 강습회·공연·잡지 발행 등 목적 - 근대사 연표
1935년 안창호, 상해에서 검거되어 4년형 받고 대전 형무소에서 복역 중 가출옥 - 근대사 연표
1939년 일제, 국민 등록제 실시 결정(6.1. 실시 예정) - 근대사 연표
1940년 1940년도 전반기 육군 특별 지원병 훈련소 강제 징집 대상이 7,962명으로 집계 - 근대사 연표
1947년 국악원 주최로 국도극장서 제1회 창극 제전 개최, 대춘향전 상연 - 대한민국사 연표
1948년 김구, 남한 단독 정부 수립 반대의 〈3천만 동포에 읍고〉 성명 - 대한민국사 연표
1950년 김백일 130 부대장, 이적 행위가 있을 경우에는 마을 전체가 책임져야 한다고 기자 회견 - 대한민국사 연표
1951년 유엔군, 서울 및 인천 재탈환 - 대한민국사 연표
1960년 교통부, 경부선 증설 특급 열차, ‘무궁화호’로 명명 - 대한민국사 연표
1966년 김인 바둑 5단, 조남철 10년 아성 무너뜨리고 바둑 새 국수 등극 - 대한민국사 연표
1970년 전 이화여대 총장 김활란(1899~1970) 박사 사망 - 대한민국사 연표
1987년 부산 형제 복지원 원생 25명 집단 탈출 - 대한민국사 연표
1992년 김진영 육군 참모 총장, 각급 지휘관들에 군 내부 사조직 해체 지시 - 대한민국사 연표
1997년 병무청, 1997년도 첫 징병 검사 완전 공개 실시 - 대한민국사 연표
1998년 대법원, 서울대 성희롱 사건 관련 조교에 승소 판결 - 대한민국사 연표
2003년 대통령직 인수 위원회, 차기 정부의 별칭, 「참여 정부」로 확정 - 대한민국사 연표
2006년 서울대학교, 황우석의 줄기 세포 논문 조작 관련하여 교수 7명 직위 해제 - 대한민국사 연표
2008년 국보 1호 숭례문, 방화로 붕괴 - 대한민국사 연표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역사] 2월 11일 (1) | 2025.02.11 |
---|---|
[오늘의 역사] 2월 9일 (2) | 2025.02.09 |
[오늘의 역사] 2월 8일 (3) | 2025.02.08 |
[오늘의 역사] 2월 7일 (4) | 2025.02.07 |
[오늘의 역사] 2월 6일 (1)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