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6년 독도 의용수비대 대장 홍순칠이 사망하다.
1929년 일제강점기에 울릉도에서 태어났다. 조선국방경비대에 입대해 군인이 되었고 6.25 전쟁에도 참전했다 부상을 당해 원사로 명예 전역했다. 전역 후에는 1953~56년까지 독도의용수비대를 결성해 이끌었으며 독도 대첩 당시 전투를 성공적으로 지휘해 일본 해상보안청의 침공을 격퇴시켰다. 자세한 내용은 독도의용수비대와 독도 대첩 문서 참고. 이때의 공로로 1966년에 5등 근무공로훈장을 받았다.
1064년 외산제고사의 파견을 제한함 - 고려사
1151년 문하시중으로 치사한 김부식이 사망함 - 고려사
1255년 등주별초가 철령에서 몽고군을 물리침 - 고려사
1270년 몽고에서 서경을 귀속시켜 동녕부로 개명함 - 고려사
1271년 대부도 주민들이 반란을 일으켰다가 평정됨 - 고려사
1332년 고릉이 도굴됨 - 고려사
1347년 태묘에 도둑이 듦 - 고려사
1406년 관리 후보자를 전형하여 선발하는 전선법을 제정함 - 조선왕조실록
1409년 의약 활인법을 제정함 - 조선왕조실록
1410년 주자소에서 서적을 인쇄하여 팔게 함 - 조선왕조실록
1410년 시전의 대시(大市)를 정함 - 조선왕조실록
1424년 경상·전라도에 주전소를 설치함 - 조선왕조실록
1461년 세금 수납 시 포의 가격을 정함 - 조선왕조실록
1470년 부모의 화장(火葬)을 금함 - 조선왕조실록
1503년 도화서에서 〈사안휴기동산도(謝安携妓東山圖)〉를 그려 바침 - 조선왕조실록
1573년 《운회(韻會)》를 교정해 간행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574년 향약 시행을 민생이 안정된 뒤로 연기함 - 조선왕조실록
1625년 이원익의 건의에 따라 대동법을 중지함 - 조선왕조실록
1628년 명나라의 숭정 연호를 사용하기로 함 - 조선왕조실록
1666년 강화의 덕포진을 통진으로 옮겨 설치함 - 조선왕조실록
1718년 왕세자빈 심씨(단의 왕후, 경종 비)가 승하함 - 조선왕조실록
1770년 장령 최민이 소 도살과 소나무 남벌을 금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림 - 조선왕조실록
1777년 금영·어영의 대장을 어영사·금위사로 고침 - 조선왕조실록
1779년 군영의 군병 출동은 신전(信箭)과 표신을 해당 장수에게 전한 뒤 하도록 함 - 조선왕조실록
1795년 용인·안산·진위를 화성에 소속시킴 - 조선왕조실록
1856년 진하 겸 사은사를 청나라에 보냄 - 조선왕조실록
1860년 왕이 밖으로 거둥할 때의 군복 복장을 정함 - 조선왕조실록
1882년 이홍장, 미국 함장 슈펠트에게 한미 조약안에 한국의 중국 속국 명문화 요청 - 근대사 연표
1908년 〈대한제국 표준시소에 관한 건〉 공포, 동경 127도 30분 기준 - 근대사 연표
1908년 일본군, 호남 의병 토벌 작전 전개 - 근대사 연표
1910년 보성소학교, 일본식으로 창씨 개명한 학생에 퇴학 처분 - 근대사 연표
1910년 관립 의학교, 대한의원 부속 의학교로 개편 - 근대사 연표
1919년 조선청년독립단, 민족 대회 소집 청원서 1천장 인쇄. 독립 선언문 동결의(同決議) 국문·영문·일문 6백 장 등사(2·8 독립 선언) - 근대사 연표
1928년 조선총독부, 임시 소작 위원회 규정 공포, 소작 쟁의 방지 및 진압 대책수립 관련 자료 조사 규정 - 근대사 연표
1931년 평양 면옥 노동 조합, 고용주 측의 임금 인하에 반대하여 동맹 파업 결의 - 근대사 연표
1947년 이승만, 도미 중 〈남한 과도 정부 수립〉 발표 - 대한민국사 연표
1949년 최남선·이광수,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에 체포됨 - 대한민국사 연표
1968년 박정희 대통령, 향토 방위대 필요성과 향군 250만 완전 무장을 위한 무기 공장을 연내 완성하겠다는 계획 역설 - 대한민국사 연표
1968년 군국, 전 장병 제대 일시 중단 - 대한민국사 연표
1971년 155마일 전선 방위는 한국군이 전담하고, 미군은 판문점 주변 경비만 담당한다고 발표 - 대한민국사 연표
1972년 청룡 부대, 베트남 파병 6년 5개월 만에 부산항 개선 - 대한민국사 연표
1975년 이원경 문공부 장관, 종교인의 정치 관여에 자숙 촉구 - 대한민국사 연표
1978년 영화 배우 최은희, 홍콩에서 납북 - 대한민국사 연표
1995년 지휘자 정명훈, 1994년도 프랑스 최고 지휘자상 〈고전 음악의 승리상〉 3개 부분 수상 - 대한민국사 연표
1996년 전국 경제인 연합, 〈기업 윤리 헌장〉 제정 - 대한민국사 연표
2002년 파월 미 국무부 장관, 외교부 장관에 한국의 햇볕 정책 지지 서한 전달 - 대한민국사 연표
2006년 삼성 그룹, 편법 증여 문제 관련 대국민 사과 및 사회 공헌 기금 8천억 원 환원 발표 - 대한민국사 연표
2007년 서울 행정 법원, KT&G의 담배 방송 광고 금지 판결 - 대한민국사 연표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역사] 2월 9일 (2) | 2025.02.09 |
---|---|
[오늘의 역사] 2월 8일 (3) | 2025.02.08 |
[오늘의 역사] 2월 6일 (1) | 2025.02.06 |
[오늘의 역사] 2월 5일 (3) | 2025.02.05 |
[오늘의 역사] 2월 4일 (1)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