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4

[오늘의 역사] 4월 12일

1597년 이순신 장군이 파직당하였습니다. 가토가 언제 부산으로 건너올지 모르는 상황에서 선조는 "이순신은 일본에서 부산으로 건너오는 가토 기요마사를 요격하라." 라는 명령을 내립니다. 아무리 이순신 장군이라도 불가능한 명령이었고 "나는 가토 기요마사를 요격할 수 있습니다." 라며 원균은 상소를 올립니다. 조선 역사에서 손에 꼽히는 암군 선조 그리고 원균이었습니다.   989년 교육정책에 관한 조서를 내림 - 고려사 1284년 왕·공주·세자가 1천명의 신하를 거느리고 원에 입조함 - 고려사절요 1402년 금주령을 내림 - 조선왕조실록 1419년 고려 문하주서(門下注書) 길재(吉再) 죽음 - 조선왕조실록 1436년 의정부 서사제(議政府署事制, 6조 업무를 왕에게 보고하기 전 의정부를 거치도록 한 것)를 다..

오늘의 역사 2025.04.12

[오늘의 역사] 4월 11일

1623년 인조반정이 일어났습니다.  "광해군은 명나라와 의리를 저버렸다.", "광해군은 폐모살제를 하였으니 패륜아다.",서인은 광해군과 북인을 몰아낸 후 능양군을 (인조) 왕으로 세웠습니다. 김류(金瑬)를 총대장(總大將)으로 삼은 반정군(反正軍)은 출병(出兵)에 앞서 세검정(洗劍亭)에서 칼을 씻으면서 전의(戰意)를 다지고 당시 자하문(紫霞門)이라고 불렸던 창의문(彰義門)을 거쳐 창덕궁(昌德宮)의 정문(正門)인 돈화문(敦化門)에 도착했다. 1015년 6성 반환을 요구하는 거란 사신을 억류함 - 고려사 1116년 요가 요주 발해를 평정함 - 중국사서 1126년 금에 칭신하는 표문을 보냄 - 고려사 1311년 다시 선군을 설치하고 지언부사 백원항을 별감사에 임명함 - 고려사 1340년 원에서 고려인 기씨를 ..

오늘의 역사 2025.04.11

[오늘의 역사] 4월 10일

1900년 한성전기회사가 종로에서 최초의 민간 가로등 3개를 점등하다. 지금으로부터 118년 전인 1900년 4월 10일에는 한성전기회사 사옥(현재 YMCA 옆 장안빌딩 자리) 주변에 설치된 전기 가로등 3개가 불을 밝혔습니다. 누구나 볼 수 있는 길거리에 등장한 전등은 이것이 처음이었습니다. 이듬 해 6월 17일에는 경운궁 안에 6개의 전등을 설치했고, 8월 19일 밤 11시, 서울 동대문 전기 차고에 수많은 시민이 모인 가운데 육군 부장 민영환이 예식용 스위치를 눌렀습니다. 순간 종로 주요 교차로에 설치된 전기 가로등에 불이 들어왔습니다.  1307년 서흥후 왕전과 왕유소 일당을 처형함 - 고려사 1396년 금주령을 내림 - 조선왕조실록 1401년 중국의 상징인 황색(黃色)의 사용을 금함 - 조선왕조..

오늘의 역사 2025.04.10

[오늘의 역사] 4월 9일

1975년 '사법사상 암흑의 날'로 지정되었습니다.  유신 독재에 대한 시위가 거세지자 박정희 정부는 간첩 사건을 조작 발표합니다. 인민혁명당을 조직했다는 혐의로 대구의 지식인들을 잡아다가 고문을 가하고 거짓 자백을 받아낸 뒤 사형을 구형합니다. 그리고 다음날, 항소 기회도 주지 않은 채 바로 사형을 집행합니다. 인혁당 사건은 박정희 정권의 사법 살인이었습니다. 스위스 제네바의 국제법학자협회는 대한민국 사법부에서 인혁당 사건 관련자들에게 사형을 구형한 4월 9일을 '사법사상 암흑의 날'로 지정합니다. -황현필 역사일력  1108년 윤관과 오연총이 개선하자 동교에서 위로하는 연회를 베풂 - 고려사 1122년 왕의 즉위를 태묘와 9릉에 고함 - 고려사 1273년 경략사 힌두 등이 출정함 - 원고려기사 140..

오늘의 역사 2025.04.09

[오늘의 역사] 4월 8일

1450년 세종대왕께서 승하하셨습니다.  54세에 승하한 위대한 군주 세종대왕의 개인적인 삶은 행복했을까요? 아버지에 의해 처가는 박살났고 아들 세자는 항상 병석에 있었으며 세 명의 며느리들은 모두 죽어 계모조차 없는 어린 손자를 두고 자신은 합병증을 앓아야 했습니다. 반면 세종대왕에게 자리를 양보한 후 평생을 유흥으로 보냈던 양녕대군은 69세까지 살며 천수를 누렸습니다.   1108년 여진이 웅주성을 다시 공격함 - 고려사 1116년 모든 문서에서 요 연호를 삭제하게 함 - 고려사 1122년 왕이 훙서함 - 고려사 1229년 삼사의 문장고에 화재가 발생함 - 고려사 1298년 태사국에서 개경 안 무당들의 축출을 건의함 - 고려사 1352년 석가탄신일에 왕이 연등회를 열고 반승을 베풂 - 고려사 1403..

오늘의 역사 2025.04.08

[오늘의 역사] 4월 7일

1896년 독립신문이 창간되었습니다.  독립신문은 최초의 한글 신문이자 민간 신문이었습니다. 서재필은 독립신문의 마지막 면에 영문판 기사를 실어 조선의 실정을 외국에 알리려 노력하였습니다. 1957년 독립신문의 창간 정신을 기리고자 이날을 '신문의 날'로 제정합니다. 제 1회 신문의 날을 맞이하여 발표된 표어입니다. "신문은 약자의 반려" 오늘날 대한민국의 신문들도 과연 그럴까요?  1018년 개경에 전염병이 돌자 의원을 보내 치료하게 함 - 고려사 1029년 호랑이가 경성에 들어옴 - 고려사 1085년 왕제 왕후(의천)가 몰래 송에 감 - 고려사 1106년 대유창을 만듦 - 고려사 1256년 몽고군이 현풍현 백성들을 약탈하고 권농사를 죽임 - 고려사 1407년 병조에서 군정 사목(軍政事目)을 올림 - ..

오늘의 역사 2025.04.07

[오늘의 역사] 4월 4일

1994년 서재필의 유해가 미국에서 돌아왔습니다.  민중을 계몽하려 했던 서재필은 조선인임을 부정하고 우리말이 아닌 영어로만 대화했던 철저한 미국인 필립 제이슨이었습니다. 서재필은 조선에서 쌓은 재산을 챙겨 미국으로 돌아간 후 일제강점기 35년 동안 민족의 아픔을 외면했습니다. 훗날 서재필의 유해가 동작동 국립묘지에 들어가는 것을 역사가들이 반대합니다. 외국인은 국립묘지에 묻힐 수 없기 때문입니다. - 황현필 역사일력 발췌 1035년 경성 명산에서 땔나무 채취를 금함 - 고려사 1036년 예전대로 입하절에 얼음을 바치도록 함 - 고려사 1109년 동계병마부원수 오연총이 여진 정벌길에 오름 - 고려사 1128년 남계의 해적을 진압하기 위해 선무사를 파견함 - 고려사 1317년 민지가 『본조편년강목』을 편찬..

오늘의 역사 2025.04.04

[오늘의 역사] 4월 3일

1948년 제주 4·3  사건이 발생하였습니다.  친일경찰의 횡포와 미군정의 실정으로 제주도는 괴로웠습니다. 남한만의 단독선거를 반대하며 김달삼을 비롯한 남로당원들이 경찰서를 습격합니다. 군경은 좌익무장단체를 숙청한다는 명분으로 강경한 탄압을 가했고 그 과정에서 수 많은 제주도민이 학살을 당했습니다. 그 대다수가 노인과 여성 그리고 아이들이었습니다.  1030년 책력과 월식을 제대로 예측하지 못한 술가를 문책함 - 고려사 1101년 왕이 국자감의 건의를 수용하여 문선왕의 사당에 61자와 21현의 초상을 새로 그려 배향함 - 고려사 1101년 일식을 잘못 예측한 관리를 처벌함 - 고려사 1136년 김부식이 개선하자 왕이 경령전에 가서 승전을 고함 - 고려사 1412년 강계(江界)에서 화재로 민가 265호가..

오늘의 역사 2025.04.03

[오늘의 역사] 4월 2일

1984년 국가 안전 기획부, 영화 배우 최은희와 영화 감독 신상옥 납북 발표 1038년 평장사 유소가 사망함 - 고려사 1257년 중서령 최항이 사망함 - 고려사 1408년 명나라에 간 양녕 대군이 황제에게 하직 인사를 함 - 조선왕조실록 1412년 경회루를 크게 확장하여 새로 짓고, 사방에 연못을 조성함 - 조선왕조실록 1414년 초입사(初入仕, 공신의 자손이 처음 관직에 임명되는 것)의 법을 정함 - 조선왕조실록 1415년 제주에서 조세 거두는 법을 정함 - 조선왕조실록 1425년 변계량이 경기체가로 〈화산별곡(華山別曲)〉을 지음 - 조선왕조실록 1426년 태평소(太平簫)를 만들어 익히게 함 - 조선왕조실록 1437년 함경도 공성(孔城)이 왕업을 일으킨 곳이라 하여 경흥군(慶興郡)으로 승격시킴 - ..

오늘의 역사 2025.04.02

[오늘의 역사] 4월 1일

1938년 일제가 국가 총동원법을 발표하였습니다.  만주사변과 중일전쟁을 위해 조선을 대륙 침략의 병참 기지로 만들고자 조선에 총동원령을 내렸습니다. 조선의 모든 쌀은 군량미가 되었고 숟가락, 밥그릇과 교회와 학교의 종은 일본군의 총알이 되었으며 가축공출로 마을에서는 소와 돼지가 사하지게됩니다.  뿐만 아니라 인적 수탈도 자행합니다. 징용으로, 학도병으로, 그리고 위안부 성노예로.  996년 철전을 주조함 - 고려사 1273년 힌두의 요구에 따라 경상도의 2년치 조세를 삼별초 토벌군 군량으로 허용함 - 고려사 1278년 왕·공주·세자가 원으로 출발함 - 고려사 1289년 원이 고려의 쌀을 빌려 요양성의 기근을 진휼함 - 중국사서 1352년 원에서 일식을 예고하였으나 일식이 발생하지 않음 - 고려사절요 1..

오늘의 역사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