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8

[오늘의 역사] 4월 12일

1597년 이순신 장군이 파직당하였습니다. 가토가 언제 부산으로 건너올지 모르는 상황에서 선조는 "이순신은 일본에서 부산으로 건너오는 가토 기요마사를 요격하라." 라는 명령을 내립니다. 아무리 이순신 장군이라도 불가능한 명령이었고 "나는 가토 기요마사를 요격할 수 있습니다." 라며 원균은 상소를 올립니다. 조선 역사에서 손에 꼽히는 암군 선조 그리고 원균이었습니다.   989년 교육정책에 관한 조서를 내림 - 고려사 1284년 왕·공주·세자가 1천명의 신하를 거느리고 원에 입조함 - 고려사절요 1402년 금주령을 내림 - 조선왕조실록 1419년 고려 문하주서(門下注書) 길재(吉再) 죽음 - 조선왕조실록 1436년 의정부 서사제(議政府署事制, 6조 업무를 왕에게 보고하기 전 의정부를 거치도록 한 것)를 다..

오늘의 역사 2025.04.12

[오늘의 역사] 3월 17일

1608년 광해군이 즉위하였습니다.  분조를 잘 이끌어 임진왜란 중 최전방에서 잘 싸우며 세자로 책봉된 광해군은 백성들의 지지를 받았습니다. 51세의 선조는 19살의 인목대비와 사이에서 영창대군을 얻었습니다. 갓난아이에게 세자 자리를 빼앗길 위기에 처했으나 선조가 급사한 연유로 왕위에 오를 수 있었습니다.  1013년 거란 사신이 와서 6성을 요구함 - 고려사 1250년 북계 주민들이 서경과 서해도로 이주함 - 고려사 1260년 왕(원종)이 귀국함 - 고려사 1281년 김방경의 군대가 합포로 출정함 - 고려사 1410년 제주에 유배된 민무구·민무질이 자결함 - 조선왕조실록 1411년 원단(圓壇)의 제례 의식을 정함 - 조선왕조실록 1431년 《태종실록》을 완성함 - 조선왕조실록 1497년 갑산·삼수에 전..

오늘의 역사 2025.03.17

[오늘의 역사] 2월 6일

1593년 조명연합군이 평양성을 공격하였습니다.  왜란 당시 일본군 선발이었던 고니시 유키나가는 조선의 정발, 송상현,이일, 신립을 모두 물리치고 한양을 점령한 후 선조를 쫒아 개경을 지나 평양까지 진격합니다. 그러나 이순신 장군에게 해로를 봉쇄당하고 조선의 의병까지 봉기하자 보급로가 끊깁니다. 이때 명나라의 이여송 부대와 류성룡의 조선군이 연합하여 평양성을 탈환합니다.  1019년 강감찬이 개선하니 왕이 맞이하여 연회를 베풀고 포상함 - 고려사 1099년 송이 고려인의 빈공과 요청을 허락함 - 중국사서 1249년 강도에 화재가 발생함 - 고려사 1344년 왕(충목왕)이 채하중 등을 국정에 참여시키고 선왕의 측근들을 축출함 - 고려사 1401년 명나라의 사신이 《대통력(大統曆)》을 가지고 옴 - 조선왕조..

오늘의 역사 2025.02.06

[오늘의 역사] 12월 16일

1598년 (음력 11월 19일) 이순신 장군이 전사하였습니다. 퇴각하는 일본군을 이순신 장군이 막아섰습니다. 명나라 수군 제독 진린도 함께했습니다. 마지막 전투여서인지 아군의 피해를 계산하지 않고 왜군을 한 명이라도 더 죽이기 위한 전투를 벌였습니다. 그러다 이순신은 총탄에 맞았습니다. "싸움이 급하니 부디 내 죽음을 말하지 말라."  1343년 원 황제가 왕을 게양현으로 유배보냄 - 고려사 1359년 홍건적이 철주를 침략함 - 고려사 1392년 사형죄의 삼복계를 정함 - 조선왕조실록 1405년 금주령을 예년보다 일찍 내림 - 조선왕조실록 1425년 서북 국경 방어 중에 사망(병사·익사·전사)한 사람에 대한 보상을 정함 - 조선왕조실록 1430년 동궁 내관의 관제를 정함 - 조선왕조실록 1456년 죄의..

오늘의 역사 2024.12.16

[오늘의 역사] 10월 5일

1031년 국자감시를 처음으로 설치함 - 고려사 1352년 왕이 정동행성에서 조일신을 처형함 - 고려사 1469년 강진현의 청자 제조 우수자에게 포상하기로 함 - 조선왕조실록 1609년 《선조실록》 편찬을 위해 임진왜란 이전의 실록 수정 자료를 수집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621년 세금으로 징수한 쌀로 관리의 녹봉을 지급하기로 함 - 조선왕조실록 1627년 이인거의 역모와 관련된 죄인을 공초하고 처벌함 - 조선왕조실록 1663년 통영의 이순신 사우에 충렬을 사액함 - 조선왕조실록 1680년 《현종실록》 개수를 위해 가장 사초(사관이 집에 보관한 사초) 수납을 명함 - 조선왕조실록 1709년 관리의 청렴과 탐오에 대한 성적을 올리도록 함 - 조선왕조실록 1733년 《경종실록》·《선조보감》 등을 태백산 사..

오늘의 역사 2024.10.05

[오늘의 역사] 9월 18일

1053년 교지를 작성하는 관료들을 한림원에 숙박시키도록 함 - 고려사 1235년 진명성이 함락되고 이유정의 군대가 전멸함 - 고려사 1259년 고종을 홍릉에 장사지냄 - 고려사 1259년 고종을 홍릉에 장사지냄 - 고려사절요 1459년 공사 천인 중에서 화살 잘 쏘는 사람을 선발하여 장용대를 편성함 - 조선왕조실록 1534년 제릉에 친행하는 일로 경기의 조세를 감면하여 줌 - 조선왕조실록 1547년 양재역 벽서 사건이 일어남(정미사화) - 조선왕조실록 1554년 지난해에 불탔던 경복궁이 완성됨 - 조선왕조실록 1556년 청홍도(충청도) 직산과 경기도 안산에 해일 발생 - 조선왕조실록 1629년 《선원록》을 오대산에 보관함 - 조선왕조실록 1681년 명에 따라 송시열이 《심경석의》를 정정하고 함께 차자를..

오늘의 역사 2024.09.18

[오늘의 역사] 8월 28일

918년 호랑이가 도성 흑창에 들어옴 - 고려사 1308년 왕(충선왕)이 즉위함 - 고려사 1374년 최영이 탐라를 평정함 - 고려사 1407년 금과 은을 녹여 환약·요대·서화 따위에 도금하는 것을 금지함 - 조선왕조실록 1408년 공처노비의 신공액을 노 추포 5필, 비 4필로 정함 - 조선왕조실록 1409년 하륜 등에게 《태조실록》을 짓게 함 - 조선왕조실록 1409년 삼군진무소를 의흥부로 고치고 2품으로 함 - 조선왕조실록 1410년 의례 상정소를 설치함 - 조선왕조실록 1412년 전라도 미곡을 육로로 운반함 - 조선왕조실록 1413년 의정부에서 우리나라 지도와 도로 족자를 바침 - 조선왕조실록 1459년 올량합 추장 낭발아한(浪孛兒罕) 부자를 주살함 - 조선왕조실록 1506년 공자의 직분이 신하이므..

오늘의 역사 2024.08.28

[오늘의 역사] 8월 14일

1077년 정해현에 중국 사신을 위한 객관을 짓고 이름을 안흥정이라 함 - 고려사 1124년 이자겸의 셋째 딸을 왕비로 맞아들임 - 고려사 1369년 명이 왕을 고려국왕으로 책봉함 - 중국사서 1396년 신덕 왕후 강씨의 장례를 위하여 4도감 13소를 설치함 - 조선왕조실록 1468년 세조가 전위하고 휴양하기 위해 창덕궁 후원에 무일전을 세움 - 조선왕조실록 1472년 전세 납부를 호조 낭청이 담당하며 행할 절목을 마련함 - 조선왕조실록 1539년 공정 대왕과 정안 왕후의 영정을 화장사(蔍藏寺)에서 선원전으로 옮겨 봉안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694년 일본에게 울릉도가 조선의 영토임을 주장함 - 조선왕조실록 1701년 인현 왕후가 창경궁 경춘전에서 승하함 - 조선왕조실록 1709년 성곽 밖의 니사(尼舍..

오늘의 역사 2024.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