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역사

[오늘의 역사] 2월 14일

aeiin 2025. 2. 14. 07:00

1910년 안중근이 사형을 선고받았습니다. 

 

안중근이 항소를 준비하려 하자 어머니 조마리아 역사의 편지가 옵니다.
"사랑하는 아들아, 이 어미는 현세에서 재회하길 기대하지 않는다." 

 

 

1409년 길창군 권근 죽음 - 조선왕조실록

1410년 군자감을 용산강에 다시 짓게 함 - 조선왕조실록

1416년 경상도 산음현에 지진 발생 - 조선왕조실록

1430년 《농사직설(農事直說)》을 각 도에 배포함 - 조선왕조실록

1433년 한성부 기첩의 자녀를 양인으로 삼게 함 - 조선왕조실록

1454년 진법(陣法) 연습에 참여하지 않은 장수를 파직함 - 조선왕조실록

1494년 우의정 허종 죽음 - 조선왕조실록

1499년 안순 왕후(예종 비)를 창릉에 예장함 - 조선왕조실록

1525년 평안도에서 여역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830명 추가 발생 - 조선왕조실록

1526년 충청도에서 전염병으로 128명이 죽음 - 조선왕조실록

1548년 을사사화를 춘추필법에 따라 직필한 시정기의 내용이 논란이 되면서 그 작성자인 안명세가 처형됨 - 조선왕조실록

1601년 서얼 허통(許通)을 금하고 물품으로 상을 주게 함 - 조선왕조실록

1608년 임해군이 진도에 유배됨 - 조선왕조실록

1608년 이원익이 영의정이 됨 - 조선왕조실록

1628년 우리나라에 온 중국인이 여염집에서 부리는 행패가 극심함 - 조선왕조실록

1630년 종묘 대문의 버드나무에 벼락이 침 - 조선왕조실록

1727년 경덕궁 광명전 첨선당 북쪽 행각에서 불이 남 - 조선왕조실록

1741년 정지하였던 계성사(啓聖祠) 영건을 다시 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65년 금성 대군 봉사손에게 안평 대군 제사도 함께 지내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82년 섬의 도사(都事)를 같은 섬의 사람으로 임명하지 못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82년 강화 유수 김익이 외규장각의 완성을 보고함 - 조선왕조실록

1784년 돈이 부족하여 구리를 사게 함 - 조선왕조실록

1887년 경복궁 전등 설비한 미국인 기사 멕케이, 저격 당함(3.9. 사망) - 근대사 연표

1893년 미국인 집에 외국인 추방 내용이 적힌 벽보 부착됨 - 근대사 연표

1900년 일본 원양 어업 회사, 경상·강원·함경도 해역의 포경권 허가권 획득(어선 1척당 어로세 1년 800원) - 근대사 연표

1910년 안중근, 여순 지방 법원서 사형 선고(3.26. 집행 순국) - 근대사 연표

1915년 조선총독부, 해인사 대장경의 3부 인쇄 요구(12월 교토 천통사(泉通寺)로 반출) - 근대사 연표

1935년 임생원·김세종 등, 극단 예술좌(藝術座) 창립 - 근대사 연표

1940년 농림국, 외국쌀 10만 8천석, 만주 잡곡 9만 3천석 수입 결정 - 근대사 연표

1940년 〈묘지 규칙〉 개정, 신고제에서 허가제로 변경 - 근대사 연표

1946년 군정청, 최고 자문 기관 남조선 민주 의원(의장 이승만, 부의장 김구) 구성 - 대한민국사 연표

1948년 〈공창 제도〉 폐지 - 대한민국사 연표

1951년 〈반민족 행위 처벌법〉 폐지 - 대한민국사 연표

1963년 화학 노동 조합 미원 분회, 5·16 군사 정변 이후 첫 쟁의, 부당 해고 반대와 체불 임금 지불 요구 - 대한민국사 연표

1968년 국회 의사당 건립 후보지로 여의도 결정 - 대한민국사 연표

1969년 해외 원정 등반대(훈련 대장 이희성), 설악산에서 훈련 중 눈사태로 10명 전원 사망 - 대한민국사 연표

1975년 대검찰청, 대리 유신 찬반 국민 투표 폭로한 여주 육북초등학교 교사 구속 - 대한민국사 연표

1978년 대낮에 수원·성남·안양 등 카바레에서 춤추던 주부 등 3백여 명 적발 - 대한민국사 연표

1979년 최저 임금제 실시 3년 만에 폐지, 기업별 지불 능력에 따른 개별적 임금 지도 방침 수립 - 대한민국사 연표

1982년 워커 주한 미 대사, 〈더 스테이트〉와 회견 중 반체제 인사들에 대해 “버릇없는 애새끼”라고 발언 파문 - 대한민국사 연표

1998년 30대 그룹, IMF 사태에 재벌 비서실 축소 등 구조 조정 계획서를 비상 경제 대책 위원회에 제출 - 대한민국사 연표

2002년 고기현·최은경, 제19회 솔트레이크 동계 올림픽 쇼트 트랙에서 금·은메달 획득 - 대한민국사 연표

2003년 김대중 대통령, 2000년 대북 비밀 송금 의혹 관련하여 대국민 사과 성명 - 대한민국사 연표

2005년 병무청, 혼혈인의 현역 입대 보장한 <병역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 예고 - 대한민국사 연표

2006년 국무회의, 국가 기록 혁신 종합 실천 계획 확정 - 대한민국사 연표

2007년 부산에서 최초로 주민이 교육감 직접 선출, 투표율 15%로 저조 - 대한민국사 연표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역사] 2월 15일  (0) 2025.02.15
[오늘의 역사] 2월 13일  (1) 2025.02.13
[오늘의 역사] 2월 11일  (1) 2025.02.11
[오늘의 역사] 2월 10일  (1) 2025.02.10
[오늘의 역사] 2월 9일  (2) 202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