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역사

[오늘의 역사] 3월 24일

aeiin 2025. 3. 24. 07:00

1949년 한글학회가 설립되다. 

 

최초의 명칭은 '국어연구학회'였고 1911년 9월 3일, 총회에서 학회 이름을 '배달말글몯음(조선언문회)'로 바꾸었다. 1913년 3월 23일 임시총회에서 학회의 이름이 '한글모'로 바꾸었다. 그러나 일제의 감시로 학회 활동이 위축되었다가 1921년 12월 3일 총회를 열어 '조선어연구회'로 조직을 확대하며 되살아났다. 시간이 지나 조선어연구회의 외연이 커지고 사업이 확장되며 1931년 1월 10일 총회를 열어 '조선어학회'로 이름을 바꾸었다. 1942년 조선어학회사건으로 많은 이들이 옥고를 치렀다. 1945년 광복 후 재건되었으며, 1949년 '한글학회'로 이름을 바꾸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992년 빈공진사들이 송의 관직을 받고 고려로 돌아옴 - 중국사서

1102년 맹인 승려의 아들을 과거에 응시하게 함 - 고려사

1254년 곡식을 횡령한 관리들을 처벌함 - 고려사

1288년 각 도에 사신을 보내 소금을 전매함 - 고려사

1290년 원이 동녕부를 폐지하고 서북지역을 고려에 반환함 - 고려사

1309년 과거에 혁파한 관청을 다시 두도록 함 - 고려사

1313년 원 황제가 왕도(충숙왕)를 고려왕으로, 왕고를 세자로 책봉함 - 고려사

1313년 원 황제가 왕도(충숙왕)를 고려왕으로, 왕고를 세자로 책봉함 - 고려사절요

1339년 왕(충숙왕)이 침전에서 사망함 - 고려사

1418년 산이 있는 고을에 양봉 통을 설치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419년 흙비가 내림 - 조선왕조실록

1421년 주자소에서 구리판 주조 방식을 바꿔 인쇄 속도를 개선함 - 조선왕조실록

1446년 소헌 왕후(세종의 비) 심씨 죽음 - 조선왕조실록

1481년 부녀자들에게 《삼강행실 열녀도(三綱行實列女圖)》 언문본을 배포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494년 성종이 13가지 의료 처방을 친히 써서 관료들에게 내려 줌 - 조선왕조실록

1517년 친영(親迎, 신랑이 신부를 자기 집으로 맞이하여 혼인을 치르는 것)하는 예법을 마련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553년 경상도에서 지진 발생으로 집과 담이 무너지고 산성도 붕괴됨 - 조선왕조실록

1611년 실록청에서 사라진 임진왜란 이전 사건을 편수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611년 실록청 관원의 근무 격식을 정함 - 조선왕조실록

1616년 인경궁 터를 인왕산 기슭으로 정함 - 조선왕조실록

1616년 인경궁 터를 인왕산 기슭으로 정함 - 조선왕조실록

1618년 금호문에 흉서가 붙음 - 조선왕조실록

1618년 금호문에 흉서가 붙음 - 조선왕조실록

1648년 강원도에 홍수 발생 - 조선왕조실록

1728년 오명항이 이인좌 등을 잡아 보냄 - 조선왕조실록

1728년 이인좌의 난 중 안성에서 관군이 승리함 - 조선왕조실록

1771년 어사를 보내어 황구 충정(어린아이를 군적에 올려 세금을 부과하는 일)과 인족 침징(도망자의 친족들에게 대신 세금을 부과하는 일)을 살피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72년 《영수백세록(永垂百世錄)》을 인쇄하도록 함 - 조선왕조실록

1779년 도성 밖의 호환(虎患, 호랑이로 인한 피해)으로 의열묘·의소묘의 나무를 베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81년 어제(御製)를 순서에 따라 편찬하는 규례를 만들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81년 종부시의 예에 따라 규장각의 제도를 정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92년 규장각 직각·대교의 권점(圈點, 관리 선발 시 관직 후보자들의 이름 중 뽑고자 하는 사람에게 찍는 점) 규정을 개정함 - 조선왕조실록

1807년 강원도 통천에서 화재로 민가 184호 발생 - 조선왕조실록

1848년 성균관 개수 공사에 돈을 내려 주어 보태게 함 - 조선왕조실록

1897년 주차 구주(駐箚歐洲) 특명 전권 공사 민영환, 영국 빅토리아 여왕 즉위 60주년 축하식에 경축 사절로 파견 - 근대사 연표

1899년 〈의학교 관제〉 반포 시행 - 근대사 연표

1905년 경성역, 서대문역으로 개칭 - 근대사 연표

1905년 대동강 철교 준공 - 근대사 연표

1915년 〈사립학교 규칙〉·〈전문학교 규칙〉 공포 - 근대사 연표

1919년 김규식, 프랑스 파리에 한국 대사관 설립(고문 헐버트, 서기관 이관용) - 근대사 연표

1923년 서울 청년회, 서울에서 전조선 청년당 대회 주최 - 근대사 연표

1946년 민주 의원, 김규식·조소앙·안재홍·원세훈·김준연 등 미소 공동 위원회 파견 대표로 선정 - 대한민국사 연표

1949년 한글 학회(대표 허웅) 창립 - 대한민국사 연표

1957년 서울시 경찰청, 해골단·깡통단 등 중고생 범죄 단체 적발, 10명 체포 - 대한민국사 연표

1966년 한국·일본, 〈한일 무역 협정〉 정식 조인 - 대한민국사 연표

1971년 영동 고속 도로(신갈~강릉) 착공 - 대한민국사 연표

1972년 전국의 대리급 이상 농협 직원 1,426명, 일괄 사표 제출·업무 마비 - 대한민국사 연표

1978년 청록파 시인 박목월(1916~1978) 사망 - 대한민국사 연표

1981년 현대 그룹, 국내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매출 3조원 돌파 - 대한민국사 연표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실시, 투표율 70.1%로 역대 의원 선거 중 가장 낮은 기록 - 대한민국사 연표

1993년 박준규 국회의장, 재산 공개 물의로 국회의장직 사의 공식 표명 - 대한민국사 연표

1993년 시국 사건·학내 분규 등으로 제적된 대학생(1986.7.11~1993.2.24) 전원 복적 결정 - 대한민국사 연표

1997년 한국 PD 연합회, 표절 가요 판정곡의 가요·쇼 프로그램 방송 금지 결정 - 대한민국사 연표

1998년 은행 감독원, 부채 규모 2,500억 원 이상 53개 재벌 그룹에 1999년 말까지 부채 비율을 200%로 낮추라고 권고 - 대한민국사 연표

2001년 북한 조문단, 정주영 현대그룹 전 명예 회장 빈소 방문·조문 - 대한민국사 연표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역사] 3월 26일  (2) 2025.03.26
[오늘의 역사] 3월 25일  (1) 2025.03.25
[오늘의 역사] 3월 23일  (2) 2025.03.23
[오늘의 역사] 3월 22일  (4) 2025.03.22
[오늘의 역사] 3월 21일  (4) 2025.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