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유박해로 정약용이 탄핵을 당했습니다.
정조대왕은 천주교에 관대했습니다. 그런 정조가 죽자 노론은 정조를 따랐던 시파와 남인들을 제거하려 신유박해를 일으킵니다. 신유박해로 정약전은 흑산도로, 정약용은 강진으로 유배를 갔습니다. 18년 간의 유배 생활동안 정약용은 <목민심서>, <경세유표>,<흠흠신서>,<마과회통>,<아방강역고> 등을 집필했습니다.
1087년 송 상인들이 새로 주석한 화엄경판을 바침 - 고려사
1118년 내예에게 모욕을 당한 어사대의 관리들이 태업을 벌임 - 고려사
1134년 민간 아이들에게 『효경』과 『논어』를 배포함 - 고려사
1229년 화주 병기고에 화재가 발생함 - 고려사
1255년 몽고군이 파괴한 지릉을 보수함 - 고려사
1360년 홍건적이 봉주와 원당포를 침략함 - 고려사절요
1413년 《태조실록》을 완성함 - 조선왕조실록
1433년 제례악 때 쓰는 관복 제도를 정함 - 조선왕조실록
1520년 황해도에 흙비와 우박이 내리고 경상도에 지진 발생함 - 조선왕조실록
1527년 동궁(인종의 거처)에 불탄 쥐를 매다는 일(작서의 변)이 연이어 발생하자 대책을 논의함 - 조선왕조실록
1550년 서울에 흙비가 내림 - 조선왕조실록
1600년 명나라 황제에게 명군의 조선 주둔을 요청함 - 조선왕조실록
1609년 유구국 중산왕에게 후의에 답사하고 우호를 맺을 것이라고 자문을 보냄 - 조선왕조실록
1610년 교서관에서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내훈(內訓)》 등의 서적을 간행하도록 함 - 조선왕조실록
1626년 문학하는 신하들을 뽑아 사가독서 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640년 청나라에 사신을 보내 세자의 귀국을 허락해 준 것에 사례함 - 조선왕조실록
1666년 경상도 유생들이 송시열의 복제 문제를 논함 - 조선왕조실록
1670년 경상도 감영에 화재가 남 - 조선왕조실록
1716년 남원현에 사당을 세워 임진왜란 때 죽은 명나라 장수를 제사 지냄 - 조선왕조실록
1738년 경복궁 문에 익명서가 걸림 - 조선왕조실록
1746년 효령 대군의 묘우가 완공되어 제사 지내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78년 담사(橝祀)의 달에는 대소의 법악을 걸어 두고 연주하지 않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85년 이규운·주형채 등을 국문한 후 주형채를 효시할 것을 명함 - 조선왕조실록
1794년 규장각의 이만수가 이황의 편지 모음과 이언적의 《대학속혹문》을 가져다 바침 - 조선왕조실록
1814년 규장각에서 《홍재전서(弘齋全書)》·《경모궁예제(景慕宮睿製)》를 인쇄하여 올림 - 조선왕조실록
1826년 문무 중시를 행하여 윤제홍 등을 선발함 - 조선왕조실록
1830년 간사한 말로 민심을 선동한 곽필주를 처형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861년 철종의 어진을 완성함 - 조선왕조실록
1889년 화폐 주조 남발로 물가 폭등, 주전소 폐지 - 근대사 연표
1897년 경인철도 부설 공사, 인천 우각동(牛角洞)에서 기공 - 근대사 연표
1912년 일제, 〈조선 등록세령〉 공포(4.1. 시행) - 근대사 연표
1914년 호남선(대전~목포), 완전 개통으로 전통식(全通式) 거행 - 근대사 연표
1922년 이승만계 하와이 동포, 대한인 국민회 하와이 지방 총회 해체, 하와이 대한인 교민단으로 개편 - 근대사 연표
1947년 3·8선 월남 피난민, 월 평균 1,500명 - 대한민국사 연표
1947년 남한 각지의 산업 기관 24시간 동맹 파업 및 학생 동맹 휴학 발생 - 대한민국사 연표
1948년 일본, 〈재일 동포 학교 폐쇄령〉 공포 - 대한민국사 연표
1950년 공산 유격대 지도자 김달삼, 강원도 정선에서 사살됨 - 대한민국사 연표
1962년 윤보선 대통령, 5·16 군사 정변 이후 사임 성명 - 대한민국사 연표
1963년 케네디 미 대통령, 5·16 군사 정변 이후 민정 실현 요망의 기자 회견 - 대한민국사 연표
1967년 북한 중앙 통신 부사장 이수근, 판문점에서 위장 귀순 - 대한민국사 연표
1983년 서울시, 청사의 강남 이전 계획 백지화 - 대한민국사 연표
1989년 가정용 난방 에너지, 연탄 85%(1988년 말 현재) - 대한민국사 연표
1992년 이지문 육군 중위, 군부재자 투표의 여당 지지 강요 등 부정 행위 폭로 - 대한민국사 연표
1993년 김완기, 제64회 동아 마라톤 대회에서 2시간 9분 25초 한국 신기록으로 우승 - 대한민국사 연표
1993년 한국·미국·일본, 북한의 핵확산 금지 조약 복귀 및 핵사찰 수용 시 국교 정상화 추진 합의 - 대한민국사 연표
2001년 북한, 정주영 현대 명예 회장 조문 사절단 파견 - 대한민국사 연표
2003년 인터넷 포털 한미르, 최초로 블로그 서비스 시작 - 대한민국사 연표
2007년 전국 사립 대학 총장 협의회, 3불 정책(본고사·고교 등급제·기여 입학제 금지) 폐지 요구 - 대한민국사 연표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역사] 3월 24일 (0) | 2025.03.24 |
---|---|
[오늘의 역사] 3월 23일 (2) | 2025.03.23 |
[오늘의 역사] 3월 21일 (4) | 2025.03.21 |
[오늘의 역사] 3월 20일 (3) | 2025.03.20 |
[오늘의 역사] 3월 19일 (1)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