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정부 2대 대통령으로 박은식이 선출되었습니다.
이승만 탄핵 후, 박은식이 임시 정부 2대 대통령으로 선출됩니다. 하지만 노환으로 사직서를 제출하고 같은 해에 서거합니다. "나라는 형체이니 사라질 수 있으나, 역사는 정신이니 사라질 수 없다." 박은식은 스스로를 태백광노라 칭합니다. 조선(태백)만을 위해 살아가는 미친 노예(광노)가 되겠다는 의미였습니다.
1401년 황충과 가뭄으로 인한 피해가 극심하여 전국에 금주령을 내림 - 조선왕조실록
1427년 《당률소의(唐律疏義)》를 관원들에게 나누어 줌 - 조선왕조실록
1448년 함길도 온성부 초도에 목장을 설치함 - 조선왕조실록
1492년 왜인의 사무역을 일부 허락함 - 조선왕조실록
1598년 노비 응린(應麟)이 임진왜란에 참여한 공로로 면천(免賤)됨 - 조선왕조실록
1615년 경상도 유생 하인상이 조식의 문묘 종사를 요청함 - 조선왕조실록
1623년 광해군이 강화에 유배됨 - 조선왕조실록
1693년 경덕궁 승휘전을 수리할 때 출토된 인골들을 위해 제사를 지내 줌 - 조선왕조실록
1696년 전국에 기근이 심해 강화도 쌀 2,000석을 내어 구휼함 - 조선왕조실록
1728년 적장 설동린을 잡아들임(이인좌의 난) - 조선왕조실록
1749년 태조·신종·의종 등의 명나라 황제를 대보단에 같이 제향하는 의식을 정함 - 조선왕조실록
1750년 전국에서 역병으로 죽은 10만여 명의 사망자를 위해 여제(癘祭)를 지냄 - 조선왕조실록
1761년 대사성 서명응이 책을 수집하여 성균관에 보내 줄 것을 상소함 - 조선왕조실록
1767년 평양부의 민가 512호가 불에 타 구휼함 - 조선왕조실록
1771년 평안도 덕천군의 화재로 234호의 민가와 창고가 소실되어 대책을 마련하도록 함 - 조선왕조실록
1818년 명릉(明陵, 숙종의 능)을 훼손한 무뢰배들을 처벌함 - 조선왕조실록
1880년 예조 참의 김홍집, 제2차 일본 수신사에 임명 - 근대사 연표
1895년 최초로 정부 예산 편성 - 근대사 연표
1900년 통신국 폐지, 통신원 설치 - 근대사 연표
1903년 외국산 옷감 사용금지, 공산품 장려 지시 - 근대사 연표
1905년 일본 제일은행, 한국에서 제일은행권 발행 - 근대사 연표
1908년 장인환·전명운, 샌프란시스 페리 부두에서 외교 고문 스티븐스 저격 - 근대사 연표
1917년 평양 숭실학교 학생 중심, 국권 회복을 위한 비밀 결사 조선국민회 조직 - 근대사 연표
1925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의정원, 이승만 임시 대통령 탄핵 면직, 구미위원부 폐지 - 근대사 연표
1950년 서울 변호사회, 정부에 친일파 출마 금지 규정한 〈선거법〉 재고 요청 - 대한민국사 연표
1951년 이승만 대통령, 유엔군이 없어도 한국군으로 전 한반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성명서 발표 - 대한민국사 연표
1959년 최인규 내무부 장관, 집무 시간 외에 공무원의 대통령 선거 운동 무방하다고 언명 - 대한민국사 연표
1961년 현석호 국방부 장관, 〈반공 임시 특별 법안〉 반대 시위 악화 시에는 군대 동원 경고 - 대한민국사 연표
1963년 박정희 최고 회의 의장의 4년간 군정 연장 성명에 전국 주요 도시에서 군정 연장 반대 데모 - 대한민국사 연표
1972년 박용구 예그린 악단장, 예술 활동에 대한 관료주의적 제약 이유로 사임 - 대한민국사 연표
1985년 서울 남대문 시장 화재, 420개 점포 소실 - 대한민국사 연표
1988년 통일민주당·평화민주당 등 야권, 제5공화국의 각종 권력형 비리 사건에 대한 진상 규명 촉구 - 대한민국사 연표
1988년 방미 중인 전두환 전 대통령, 백악관에서 레이건 미 대통령과 회담 - 대한민국사 연표
1994년 서울 지방 검찰청, 허삼수 전 보안사령부 인사처장 소환, 12·12 고소 고발 사건 본격 수사 착수 - 대한민국사 연표
1999년 한국은행, 1998년 1인당 국민 소득 6,823달러로 1997년 대비 3,484달러 감소했다고 발표 - 대한민국사 연표
2002년 전국 공무원 직장 협의회, 조합원 6만 5천 명 규모의 전국 공무원 노동 조합 출범 - 대한민국사 연표
2003년 법무부, 〈준법 서약제〉 사실상 폐지 - 대한민국사 연표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역사] 3월 25일 (1) | 2025.03.25 |
---|---|
[오늘의 역사] 3월 24일 (0) | 2025.03.24 |
[오늘의 역사] 3월 22일 (4) | 2025.03.22 |
[오늘의 역사] 3월 21일 (4) | 2025.03.21 |
[오늘의 역사] 3월 20일 (3)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