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역사

[오늘의 역사] 1월 25일

aeiin 2025. 1. 25. 07:00

2016년 '푸른 눈의 목격자' 위르겐 힌츠페터가 사망하였습니다. 

 

영화 택시기사의 등장 인물이었던 위르겐 힌츠페터는 1980년 광주의 참상을 영상에 담아 외국에 알린 인물입니다. 
"나는 그 사람들이 외치는 소리를 모두 들었다. 너무 슬퍼 눈물을 흘리면서도 나는 기록했다. 한국 언론에서 거짓을 말하고 있다는 것도 알았다. 진실이 얼마나 위험한지도 알고 있었다. 그렇지만 나는 진실을 외면할 수 없었다. 내 필름에 기록된 모든 것은 내 눈앞에서 일어났던 일. 피할 수 없는 진실이기 때문이다."  요즘 민주화 운동을 왜곡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기억하는 자들이 사라지면 역사는 왜곡됩니다. 

 

1134년 적전 제사 때 처음으로 대성악을 씀 - 고려사

1401년 공·후·백의 작호를 부원대군·부원군·군 등으로 고침 - 조선왕조실록

1401년 투항한 왜인들을 각 고을에 분산시켜 살게 함 - 조선왕조실록

1449년 사치를 금하는 등의 의복 금제법을 제정함 - 조선왕조실록

1467년 양성지가 《해동성씨록(海東姓氏錄)》을 편찬함 - 조선왕조실록

1474년 연분 등제(等第) 절목을 개정함 - 조선왕조실록

1507년 박원종·유자광·노공필 등을 제거하려는 시도가 있어 조광보 등을 국문함 - 조선왕조실록

1516년 친영례·향음주례의 시행을 장려함 - 조선왕조실록

1624년 이괄의 난에 연루된 기자헌을 사사함 - 조선왕조실록

1633년 구관청(句管廳) 어선이 서산 앞바다에서 해적을 만나 모두 피살됨 - 조선왕조실록

1696년 굶주린 백성들을 구휼하는 설죽소(設粥所)의 죽을 검사함 - 조선왕조실록

1719년 평안도에서 책문 후시를 열지 못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41년 음관(蔭官)인 참하관(參下官)과 잡기(雜技)의 승륙(陞六)하는 법을 다시 정함 - 조선왕조실록

1743년 거재 유생(居齋儒生, 기숙하며 공부하는 유생)의 원점 절목(圓點節目, 성적을 매기던 규정)을 다시 정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72년 공납으로 바치는 인삼때문에 강계 백성에게 일어나는 폐단을 논의함 - 조선왕조실록

1788년 암행어사가 사사로이 군관을 대동하지 못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91년 저자의 백성에게 육전 이외의 곳에서도 매매할 수 있도록 허락함 - 조선왕조실록

1793년 장용영에서 내영과 외영의 새로 정한 절목을 올림 - 조선왕조실록

1825년 《동문휘고(同文彙考)》를 연이어 인쇄하기 위하여 교정 당상을 임명함 - 조선왕조실록

1829년 전라 감사가 대동미와 결전 수납을 가을로 연기해 줄 것을 건의함 - 조선왕조실록

1851년 진주 사은사(陳奏謝恩使)를 청나라에 보냄 - 조선왕조실록

1854년 탐오(貪汚)한 감사와 수령은 갑절의 형률로 처리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883년 각 도에 5가구마다 총포사(銃砲社)를 두고 도적과 외환을 스스로 경비토록 함 - 근대사 연표

1886년 박문국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주간 신문 〈한성주보〉 창간 - 근대사 연표

1907년 통감부, 남산 왜성대(倭城臺)의 신축 청사로 이전 - 근대사 연표

1908년 모든 공문 서류에 국한문 혼용 시행 - 근대사 연표

1910년 학부 차관 다와라 마고이치[俵孫一], 각 학교에 정론(政論) 금지 지시 - 근대사 연표

1920년 서상한 등, 〈도쿄 조선 고학생 동우회〉 조직 - 근대사 연표

1927년 일본 비행 학교 출신 박경원, 3등 비행사 기술 시험 합격, 최초 여성 비행사 탄생 - 근대사 연표

1929년 조선공산당 재건 준비 위원회, 〈12월 테제〉를 만장 일치로 지지 - 근대사 연표

1929년 조선총독부, 1면 1교 계획 하달(4.1. 시행) - 근대사 연표

1945년 부산~신의주 복선 공사 완공 - 근대사 연표

1946년 조선 불교 중앙 총무원, 한글 보급과 불교 교리 전파 목적에 해동역경원(海東驛經院) 설치 - 대한민국사 연표

1946년 미 군정, 미곡 부족 해결 목적에서 ‘미곡 수집령’ 발동, 1가마 120원으로 강제 수매 - 대한민국사 연표

1949년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 친일 경찰 노덕술 체포 - 대한민국사 연표

1952년 해방 이후 최고로 쌀값 폭등 - 대한민국사 연표

1953년 충남 서산군 완포리 근해서 ‘행운호’ 침몰, 170여 승객 익사 - 대한민국사 연표

1956년 주일 대표부, 한일 통상 재개 발표 - 대한민국사 연표

1956년 재무부, 대한 증권 거래소 설립 인가(3.3. 개장) - 대한민국사 연표

1958년 한국 기원 협회 창립 - 대한민국사 연표

1968년 북한, 전군 전투 태세 - 대한민국사 연표

1981년 김철호, WBC 슈퍼플라이급 세계 챔피언 획득 - 대한민국사 연표

1990년 KBS·MBC의 PD 6명, 유명 가수 출연 조건으로 상납 받아 서울 지방 검찰청에 구속 - 대한민국사 연표

1994년 가수 정태춘, 음반 사전 심의 거부로 서울 지방 검찰에 피소 - 대한민국사 연표

2007년 북한, 국제 원자력 기구 사찰팀의 입국 허용, 영변 원자로 가동 중단 - 대한민국사 연표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역사] 1월 30일  (2) 2025.01.30
[오늘의 역사] 1월 27일  (2) 2025.01.27
[오늘의 역사] 1월 24일  (4) 2025.01.24
[오늘의 역사] 1월 23일  (1) 2025.01.23
[오늘의 역사] 1월 22일  (2) 202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