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23년 인조반정이 일어났습니다.
"광해군은 명나라와 의리를 저버렸다.", "광해군은 폐모살제를 하였으니 패륜아다.",서인은 광해군과 북인을 몰아낸 후 능양군을 (인조) 왕으로 세웠습니다.
김류(金瑬)를 총대장(總大將)으로 삼은 반정군(反正軍)은 출병(出兵)에 앞서 세검정(洗劍亭)에서 칼을 씻으면서 전의(戰意)를 다지고 당시 자하문(紫霞門)이라고 불렸던 창의문(彰義門)을 거쳐 창덕궁(昌德宮)의 정문(正門)인 돈화문(敦化門)에 도착했다.
1015년 6성 반환을 요구하는 거란 사신을 억류함 - 고려사
1116년 요가 요주 발해를 평정함 - 중국사서
1126년 금에 칭신하는 표문을 보냄 - 고려사
1311년 다시 선군을 설치하고 지언부사 백원항을 별감사에 임명함 - 고려사
1340년 원에서 고려인 기씨를 제2황후로 책봉함 - 고려사
1413년 종루(鍾樓)가 완성되어 종을 비치함 - 조선왕조실록
1511년 예조·성균관이 유생 조광조(趙光祖) 등을 천거함 - 조선왕조실록
1515년 도화서(圖畫署)에서 희릉(禧陵, 중종 비 장경 왕후 능)을 그림 - 조선왕조실록
1531년 정문(旌門)이 썩어서 부서지면 곧바로 고치도록 함 - 조선왕조실록
1581년 황해도의 기근을 구제하고자 군자창(軍資倉)의 쌀 1만 석을 보냄 - 조선왕조실록
1597년 성균관 유생이 정여립 난에 연루된 정개청(鄭介淸)의 신원을 상소함 - 조선왕조실록
1613년 과거 시험에서 노장(老莊)의 글을 쓰면 불합격 처리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644년 선혜청·훈련도감·내수사·사복시 및 외방의 각 고을에서 사용하는 승두곡(升斗斛, 곡식의 양을 재는 그릇)의 규격을 통일함 - 조선왕조실록
1694년 인현 왕후(仁顯王后, 숙종 비)가 복위되어 다시 궁궐에 들어옴 - 조선왕조실록
1697년 숙종이 주강(晝講)에서 처음으로 《성학집요(聖學輯要)》를 강독함 - 조선왕조실록
1708년 지돈령부사(知敦寧府使) 김창협(金昌協) 죽음 - 조선왕조실록
1713년 숙종이 익선관(翼善冠)·곤룡포(袞龍袍) 차림으로 어진(御眞)을 그리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19년 통신사(通信使)가 일본으로 출발함 - 조선왕조실록
1746년 《속대전(續大典)》을 인쇄하여 펴냄 - 조선왕조실록
1746년 사신의 왕래에 능라(綾羅) 구입을 금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83년 남산에 불을 지른 안월성(安月城)을 유배형에 처함 - 조선왕조실록
1786년 혜경궁 홍씨가 사용하던 보갑(寶匣)을 봉모당(奉謨堂)에 봉안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91년 서얼(庶孽)도 부령(部令)의 자리에 추천할 수 있게 함 - 조선왕조실록
1826년 청주 북성문(北城門)에 붙었던 흉서를 불태움 - 조선왕조실록
1830년 정몽주(鄭夢周)의 충절을 기리고 후손을 등용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833년 김조순(金祖淳)을 정조의 묘정에 배향함 - 조선왕조실록
1837년 의주부의 화재민을 구휼함 - 조선왕조실록
1894년 봉기한 북접 동학교도, 관군 출동설에 자진 해산 - 근대사 연표
1896년 노응규·정한용 의병 부대, 경상도 김해 평야에서 일본군 수비대와 교전 - 근대사 연표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제1회 임시의정원 회의, 상해 프랑스조계에서 개최, 대한민국 국호 결정, 정부 조직 등 임시 헌장 10조 통과 - 근대사 연표
1920년 차금봉·김명식·오상근 등 600여 명, 서울서 조선 노동 공제회 결성 - 근대사 연표
1942년 경기도내 각 사립학교 교장 회의 개최, 중학생의 일어 상용 강화 구체안 결정 - 근대사 연표
1947년 미 군정청, 사법권 전면 이양, 한국인 군정 재판 철폐 - 대한민국사 연표
1947년 〈미성년자 노동 보호 법안〉, 입법 의원 통과(5.16. 법률 제4호로 공포) - 대한민국사 연표
1951년 트루먼 미국 대통령, 극동 사령관 맥아더 원수 해임 - 대한민국사 연표
1953년 휴전 회담, 〈부상병 포로 교환 협정〉 조인, UN측 부상병 6백 명, 공산포 로 5천 8백 명 송환 - 대한민국사 연표
1960년 홍진기 내무부 장관, ‘마산 사건’에 적색 마수가 개입한 혐의가 있다고 담화 - 대한민국사 연표
1960년 김주열 시신 발견, 제2차 마산 시위 격화 - 대한민국사 연표
1972년 내무부 치안국, 통일혁명당 재건 관련 고정 간첩 9명, 동조자 등 32명 검거 발표 - 대한민국사 연표
1975년 서울대 농대생 김상진, 교내 자유 성토 대회에서 양심 선언문 발표 후 할복 - 대한민국사 연표
1986년 성균관대 교수 35명·서울대 교수 48명, 직선제 개헌 관련 시국 성명 - 대한민국사 연표
1990년 대법원, 공무원법의 단체 행동 금지 합헌, 전교조 활동의 교육 민주화 행위 불인정 판결 - 대한민국사 연표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실시 △신한국당(139석)·국민회의(79석)·자민련(50석)·민주당(15석)·무소속(16석) - 대한민국사 연표
1998년 서울 금란교회 신도 1천여 명, MBC 〈시사매거진 2580〉의 기독교 대한 감리회 감독회장 김홍도 목사의 비리 보도에 항의 시위 - 대한민국사 연표
2002년 국립 암센터, 국내에서 처음으로 흡연이 폐암의 원인이 된다는 공식 입장 발표 - 대한민국사 연표
2005년 『시사저널』, 김형욱 전 중앙정보부장이 프랑스 파리 근교 양계장에서 피살되었다고 보도 - 대한민국사 연표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역사] 4월 12일 (5) | 2025.04.12 |
---|---|
[오늘의 역사] 4월 10일 (4) | 2025.04.10 |
[오늘의 역사] 4월 9일 (3) | 2025.04.09 |
[오늘의 역사] 4월 8일 (2) | 2025.04.08 |
[오늘의 역사] 4월 7일 (2)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