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역사

[오늘의 역사] 4월 8일

aeiin 2025. 4. 8. 08:29

1450년 세종대왕께서 승하하셨습니다. 

 

54세에 승하한 위대한 군주 세종대왕의 개인적인 삶은 행복했을까요? 아버지에 의해 처가는 박살났고 아들 세자는 항상 병석에 있었으며 세 명의 며느리들은 모두 죽어 계모조차 없는 어린 손자를 두고 자신은 합병증을 앓아야 했습니다. 반면 세종대왕에게 자리를 양보한 후 평생을 유흥으로 보냈던 양녕대군은 69세까지 살며 천수를 누렸습니다.  

 

1108년 여진이 웅주성을 다시 공격함 - 고려사

1116년 모든 문서에서 요 연호를 삭제하게 함 - 고려사

1122년 왕이 훙서함 - 고려사

1229년 삼사의 문장고에 화재가 발생함 - 고려사

1298년 태사국에서 개경 안 무당들의 축출을 건의함 - 고려사

1352년 석가탄신일에 왕이 연등회를 열고 반승을 베풂 - 고려사

1403년 명나라 사신이 태종을 조선 국왕으로 인준하는 황제의 고명(誥命)을 가지고 옴 - 조선왕조실록

1403년 진헌관마색(進獻官馬色, 중국에 바칠 말을 준비하는 기관)을 다시 둠 - 조선왕조실록

1406년 전라도에서 쌀 4,000여 석을 실은 조운선이 왜구에 약탈당함 - 조선왕조실록

1410년 해풍군에 있는 흥교사(興敎寺)의 탑을 연경사(衍慶寺)로 옮기게 함 - 조선왕조실록

1428년 한성부 인구가 10만 3,328명으로 보고됨 - 조선왕조실록

1428년 3년 만에 작성하던 군적(軍籍)을 6년마다 하기로 고침 - 조선왕조실록

1467년 원각사 10층탑이 완공됨 - 조선왕조실록

1492년 중앙의 친위 부대로 우림위(羽林衛)를 설치함 - 조선왕조실록

1510년 삼포 왜란(三浦倭亂)이 일어남 - 조선왕조실록

1546년 함경도에서 여역으로 인한 사망자가 1,332명 발생 - 조선왕조실록

1561년 밤에 선정전 돈례문(敦禮門)과 어둑(御纛)에 벼락이 침 - 조선왕조실록

1591년 이산해(李山海)가 《황조통기(皇朝統記)》를 지음 - 조선왕조실록

1696년 왕세자빈(경종의 빈)을 간택함 - 조선왕조실록

1718년 소현 세자빈(昭顯世子嬪) 강씨(姜氏)의 위패와 시호를 회복시킴 - 조선왕조실록

1725년 특명으로 심단(沈檀)의 귀양지를 함경도 경성(鏡城)에서 평안도 삭주(朔州)로 바꿈 - 조선왕조실록

1725년 함흥부에 불이 나서 250여 호가 탐 - 조선왕조실록

1741년 관학 유생의 복색은 예전대로 홍단령(紅團領)을 쓰도록 함 - 조선왕조실록

1741년 팔도의 서원과 사묘 가운데 사사로이 건립한 것은 없애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41년 대제학(大提學)을 지내고 죽은 자에게 모두 시호(諡號)를 내리도록 함 - 조선왕조실록

1764년 호서(湖西)의 곡물을 경기의 종자(種子)로 충당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83년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팔고조도(八高祖圖)》 등을 편찬함 - 조선왕조실록

1887년 아펜젤러, 최초의 감리 교회인 정동교회 설립 - 근대사 연표

1905년 일본 각의, 한국에 대한 보호권 확립 방침 결정 - 근대사 연표

1911년 조선총독부, 〈헌병 보조원 규정〉 발포 - 근대사 연표

1919년 용산에 일본군 20사단 사령부 창설 - 근대사 연표

1946년 쌀 배급, 1인 1일 1홉 결정 - 대한민국사 연표

1948년 서울 고등 법원, 〈광무신문지법〉 폐기 판시 - 대한민국사 연표

1948년 구 조선은행권, 신 조선은행권과 교환 회수 - 대한민국사 연표

1949년 소련, 한국의 유엔 가입에 거부권 행사 - 대한민국사 연표

1952년 서울시 경찰국, 미곡 절약 위해 요식업자에 쌀밥과 고깃국 판매 금지 지시 - 대한민국사 연표

1967년 C-46 수송기, 서울 청구동 주택가에 추락, 사망 58명 - 대한민국사 연표

1970년 서울 서대문 와우아파트 5층 건물 제15동 붕괴, 33명 사망·40명 중경상 - 대한민국사 연표

1971년 유한양행 창립자 고 유일한 유언장 공개, 사회 공익에 전 재산 헌납 - 대한민국사 연표

1975년 민청 학련 사건 관련 피고인 36명, 원심대로 형 확정, 사형 8명·무기 9명 - 대한민국사 연표

1999년 통일부, 1998~99년 북한 예산이 1994년 절반 수준이라고 발표 - 대한민국사 연표

2002년 송종호 법무부 장관·일본 법무 장관, 〈한일 범죄인 인도 조약〉에 서명 - 대한민국사 연표

2002년 서울시·환경부, 미세 농도 측정 이래 최악의 황사 발생으로 황사 중대 경보 발령 - 대한민국사 연표

2003년 검찰, 1997년 대선 자금 불법 모금 수사 결과 국세청·한나라당 조직적인 공모 확인 - 대한민국사 연표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역사] 4월 10일  (4) 2025.04.10
[오늘의 역사] 4월 9일  (3) 2025.04.09
[오늘의 역사] 4월 7일  (2) 2025.04.07
[오늘의 역사] 4월 4일  (1) 2025.04.04
[오늘의 역사] 4월 3일  (1)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