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8년 일제가 국가 총동원법을 발표하였습니다.
만주사변과 중일전쟁을 위해 조선을 대륙 침략의 병참 기지로 만들고자 조선에 총동원령을 내렸습니다. 조선의 모든 쌀은 군량미가 되었고 숟가락, 밥그릇과 교회와 학교의 종은 일본군의 총알이 되었으며 가축공출로 마을에서는 소와 돼지가 사하지게됩니다. 뿐만 아니라 인적 수탈도 자행합니다. 징용으로, 학도병으로, 그리고 위안부 성노예로.
996년 철전을 주조함 - 고려사
1273년 힌두의 요구에 따라 경상도의 2년치 조세를 삼별초 토벌군 군량으로 허용함 - 고려사
1278년 왕·공주·세자가 원으로 출발함 - 고려사
1289년 원이 고려의 쌀을 빌려 요양성의 기근을 진휼함 - 중국사서
1352년 원에서 일식을 예고하였으나 일식이 발생하지 않음 - 고려사절요
1388년 이성계가 4불가론을 피력하며 요동 정벌에 반대함 - 고려사
1394년 성안에 척석군(擲石軍, 돌 던지는 놀이를 하는 사람)을 설치함 - 조선왕조실록
1395년 삼군부에 《사시수수도(四時蒐狩圖)》와 《진도(陣圖)》를 간행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406년 한도를 초과하는 사찰 토지와 노비를 각 관청에 소속시킴 - 조선왕조실록
1428년 《속육전(續六典)》에 잘못된 부분이 많아 고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428년 《성리대전(性理大全)》을 고위 관리들에게 나누어 줌 - 조선왕조실록
1434년 충청·전라·경상도에 흉년이 듦 - 조선왕조실록
1467년 응방(鷹坊, 매의 사육과 매사냥을 맡아 보던 관청)을 폐지함 - 조선왕조실록
1475년 흙비가 내림 - 조선왕조실록
1478년 흙비가 내림 - 조선왕조실록
1483년 정희 왕후(貞熹王后, 세조 비)가 죽음 - 조선왕조실록
1490년 《삼강행실도》를 전국에 배포함 - 조선왕조실록
1505년 연산군의 비행을 직간한 환관(宦官) 김처선(金處善)을 처형함 - 조선왕조실록
1518년 《여씨향약언해》 등 서책을 널리 배포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518년 남곤이 악장(樂章) 중 음사(淫詞)나 불교 관련 부분을 고침 - 조선왕조실록
1525년 흙비와 우박이 내림 - 조선왕조실록
1557년 황해도에 도적들이 횡행함 - 조선왕조실록
1570년 유생들이 김굉필·정여창·조광조·이언적을 문묘에 종사해 줄 것을 청함 - 조선왕조실록
1582년 이이(李珥)가 《학교모범(學校模範)》을 지어 올림 - 조선왕조실록
1594년 승려 유정(惟政)이 명과 일본의 강화(講和) 교섭을 논함 - 조선왕조실록
1594년 각 도의 의병을 혁파하고 충용장(忠勇將) 김덕령(金德齡)에게 소속시키게 함 - 조선왕조실록
1595년 일본으로 가는 명나라 사신이 한성에 도착함 - 조선왕조실록
1600년 이산해를 파직하고 이이첨·홍여순을 삭탈관직함 - 조선왕조실록
1605년 승려 유정(惟政)이 포로 3,000명을 데리고 일본에서 돌아옴 - 조선왕조실록
1672년 경상도 기아자가 33만여 명에 달함 - 조선왕조실록
1694년 남구만(南九萬)을 영의정에 제수함 - 조선왕조실록
1728년 이웅보(李熊輔, 이인좌의 동생)와 정희량(鄭希亮)의 현상문을 게시함 - 조선왕조실록
1759년 3년 복제에서 중월(中月) 전에는 금옥으로 꾸미지 못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64년 종통을 정한 경과를 실시함 - 조선왕조실록
1769년 시종신(侍從臣)으로서 외방에 있는 자는 엄벌에 처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72년 광은(礦銀)으로 8포(八包, 사신을 따라가서 행하는 인삼무역)를 채워가는 것을 금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73년 숙종·경종 때 책봉·입학한 일기의 초록을 감인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81년 포도청에 민간에 횡행하는 도적을 잡도록 엄히 지시함 - 조선왕조실록
1786년 서울 서부 옹리(甕里)에서 화재로 민가 340호가 연소됨 - 조선왕조실록
1789년 함양·거창지역 환곡의 폐단을 조사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94년 개성에서 화재로 민가 644호가 연소하고 사망자 7명 발생 - 조선왕조실록
1862년 전라도 익산에서 도결(都結, 아전들이 횡령한 세금을 채우기 위해 더 거두어들이는 일) 사실이 보고됨 - 조선왕조실록
1895년 유길준의 『서유견문』, 일본 문순사에서 간행 - 근대사 연표
1896년 민영환,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 대관식에 파견 - 근대사 연표
1907년 국채 보상 연합 회의소(주재 양기탁), 서울에서 조직 - 근대사 연표
1916년 조선총독부, 〈전문 학교 관제〉 공포 - 근대사 연표
1920년 〈동아일보〉 창간 - 근대사 연표
1920년 조선총독부, 〈조선 태형령〉 폐지 - 근대사 연표
1920년 〈회사령〉 개정, 회사 설립 허가제에서 신고제로 변경 - 근대사 연표
1929년 정의부·참의부·신민부 3부 대표, 만주 길림성에서 국민부 수립 - 근대사 연표
1929년 여의도 비행장 개설 - 근대사 연표
1941년 조선총독부, 〈국민학교령〉 공포 - 근대사 연표
1944년 일제, 조선에서 징병 검사 강제 실시 - 근대사 연표
1946년 국립 관측소, 한국 표준시를 세계 표준시로 변경 - 대한민국사 연표
1949년 공무원 출근 시간을 오전 8시로 변경, 낮술 판매 금지 - 대한민국사 연표
1954년 〈경범죄 처벌법〉 제정, 야간 통행 제한을 법제화 - 대한민국사 연표
1954년 한국 산업 은행 발족(총재 구용서) - 대한민국사 연표
1962년 증권 거래소 보통 거래 시작 - 대한민국사 연표
1963년 서울 지방 검찰청, 증권 파동과 워커힐 부정 사건에 대한 수사 착수 - 대한민국사 연표
1964년 삼분(밀가루·설탕·시멘트) 폭리 전모 판명 - 대한민국사 연표
1968년 향토 예비군 창설, 250만 명 규모 - 대한민국사 연표
1972년 미국 TV, 한국 영화로는 처음으로 〈용가리〉 방영 - 대한민국사 연표
1978년 박현채, 『민족경제론』 발간 - 대한민국사 연표
1981년 〈독점 규제 공정 거래법〉 발효 - 대한민국사 연표
1997년 금융 연구원, 국가 위험도가 우려 수준에 도달했다고 발표 - 대한민국사 연표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역사] 4월 3일 (1) | 2025.04.03 |
---|---|
[오늘의 역사] 4월 2일 (4) | 2025.04.02 |
[오늘의 역사] 3월 31일 (2) | 2025.03.31 |
[오늘의 역사] 3월 30일 (2) | 2025.03.30 |
[오늘의 역사] 3월 29일 (2)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