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한국고속철도 KTX 개통식이열렸습니다.
우리 국민 정서상 일본의 신칸센 고속철도의 기술협력을 받기는 어려웠습니다. 이러한 때 프랑스의 미테랑 대통령이 방한했습니다. 이후 우리나라는 TGV의 기술협력을 받아 개통되었습니다.
1162년 간관이 별궁에 물품을 바치는 일을 중지시킬 것을 간언함 - 고려사
1314년 원에서 과거 시행 규칙을 보내옴 - 고려사
1405년 지의정 부사 이첨 죽음 - 조선왕조실록
1410년 서북면 성주 등에 성을 쌓음 - 조선왕조실록
1411년 흥천사 사리전을 다시 짓게 함 - 조선왕조실록
1414년 단천 등지에서 금을 채취함 - 조선왕조실록
1416년 《홍무예제(洪武禮制)》에 따라 조정 관료들의 관복을 정함 - 조선왕조실록
1431년 서울 흥복사(興福寺) 동남쪽에서 화재로 민가 84호가 연소됨 - 조선왕조실록
1445년 정인지 등이《치평요람(治平要覽)》을 편찬함 - 조선왕조실록
1445년 동부승지 이순지가 《제가역상집(諸家曆象集)》을 편찬함 - 조선왕조실록
1454년 《세종실록》을 완성함 - 조선왕조실록
1610년 명나라에 가는 사신에게 《후한서(後漢書)》·《남북사(南北史)》·《요사(遼史)》 등의 역사책을 구해 오도록 함 - 조선왕조실록
1614년 호조에서 백성들에게 소금을 폐단 없이 주도록 건의함 - 조선왕조실록
1639년 장릉(章陵, 추존 왕 원종 능)에 불이 남 - 조선왕조실록
1689년 행판돈령부사 이단하 죽음 - 조선왕조실록
1745년 경기도에 비단 50필을 주어 백성을 진휼하는 밑천으로 삼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63년 북도 병영의 군사 훈련을 일시 정지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76년 사도 세자의 죽음에 관련된 숙의 문씨의 작호를 삭탈하고 사제에 안치함 - 조선왕조실록
1779년 서얼들이 나이로 좌차(坐次, 좌석의 차례)를 정하는 것을 의논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99년 경상도 영양에서 화재로 민가 59호와 창고 48칸이 연소됨 - 조선왕조실록
1808년 함경도 북청과 단청 등에서 김치정 등이 소요를 일으킴 - 조선왕조실록
1812년 진휼청에서 5부 백성에게 쌀을 발매하였다고 아룀 - 조선왕조실록
1827년 사치함으로 탄핵받은 우의정 심상규에게 간삭(관직이나 공신 훈호를 빼앗음)의 율을 시행함 - 조선왕조실록
1840년 도성에서 떠돌며 빌어먹는 자들을 구휼함 - 조선왕조실록
1900년 러시아 대장성 편, 『한국지』(러문) 간행 - 근대사 연표
1900년 러시아에 마산항 조계 외 10리 내 조차 허용(거제도 협약) - 근대사 연표
1900년 영국인 멀덕(J.V.B. Murdoch)·헤이(J.A.Hay)에게 은산(殷山) 광산 채굴권 허가 - 근대사 연표
1918년 구한국 <화폐 조례>에 의해 발행 통용이 인정되었던 화폐를 1921.1.1.부터 통용을 금지하는 것에 대한 법령 공포 - 근대사 연표
1918년 헌병 파견소를 헌병 주재소로 개칭 - 근대사 연표
1925년 의열단원 이인홍, 북경에서 일본 탐정 김달하 총살 - 근대사 연표
1943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 임시 잠행 관제〉 공포 시행 - 근대사 연표
1948년 5·10 총선거 선거인 등록 시작 - 대한민국사 연표
1950년 이기붕 서울시장, 매매춘 여성 등을 착취한 화원사 존속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여 물의 - 대한민국사 연표
1950년 북한 김일성 수상, 소련 방문 - 대한민국사 연표
1963년 증권 파동 관련자 유원식·천병규·윤응상 등 10명, 육군 본부 보통 군법 회의 군사 재판에 구속 기소 - 대한민국사 연표
1964년 박정희 대통령, 서울 시내 대학생 대표 11명과 면담, 학생들 일단 시위 중지 - 대한민국사 연표
1973년 한국 능률 협회, 1973년도 한국의 경영자에 대우실업 김우중 사장 선정 - 대한민국사 연표
1977년 수도권 인구 분산 시책으로 인구 20만∼30만 명 규모의 반월 신공업 도시 건설 착공 - 대한민국사 연표
1989년 경찰, 현대중공업에 70개 중대 9천여 명 투입하여 농성 강제 해산 - 대한민국사 연표
1990년 루마니아와 대사급 외교 관계 수립 - 대한민국사 연표
1990년 문화방송, 미니시리즈 〈청춘〉의 일본 후지텔레비젼 드라마 표절 문제로 공개 사과 - 대한민국사 연표
1993년 전국 경찰서에 김근태 고문 사건 수배자 이근안 전 경감 검거 지시 - 대한민국사 연표
1995년 자유 민주 연합, 중앙당 창당 전당 대회(총재 김종필 명예 위원장) - 대한민국사 연표
1996년 일본군 ‘위안부’ 중국 교포 정학수 할머니, 58년 만에 귀국 - 대한민국사 연표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역사] 4월 1일 (1) | 2025.04.01 |
---|---|
[오늘의 역사] 3월 31일 (2) | 2025.03.31 |
[오늘의 역사] 3월 29일 (2) | 2025.03.29 |
[오늘의 역사] 3월 28일 (2) | 2025.03.28 |
[오늘의 역사] 3월 27일 (3)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