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역사

[오늘의 역사] 3월 16일

aeiin 2025. 3. 16. 07:00

강감찬 장군 동상
귀주대첩 상상도

1019년 귀주대첩이 있었습니다. 

 

3차례에 걸쳐 거란(요나라)의 침략이 있었으나 모두 물리쳤습니다. 

1차 : 서희의 외교담판
2차 : 양규의 선전으로 
3차 : 강감찬이 귀주대첩에서 승리 

고려 최고의 관직 문하시중을 지낸 강감찬은 당시 72세의 문관이었습니다. 그런데 동상은 칼을 차고 말을 달리는 모습이라서 이상합니다. 

 

1228년 회음진도령 희간이 반란을 모의한 서경인을 사로잡아 바침 - 고려사

1420년 집현전의 직제를 정하고 관원을 임명함 - 조선왕조실록

1511년 의례에 처음으로 남악(男樂)을 사용함 - 조선왕조실록

1525년 평안도에서 여역으로 인한 총 사망자 수가 12,915명으로 집계 - 조선왕조실록

1537년 명나라 사신이 가져온 복식류의 본을 뜨게 함 - 조선왕조실록

1600년 경상 우수사 유형이 일본에서 생환된 사람들과 적의 동태에 대해 보고함 - 조선왕조실록

1623년 이원익이 영의정에 제수됨 - 조선왕조실록

1671년 경상도에서 굶주리는 사람 115,670여 명이고 전염병 유행 - 조선왕조실록

1682년 김석주가 군제 변통 절목(軍制變通節目)을 올림 - 조선왕조실록

1711년 청나라에서 사신을 보내 국경을 넘어서 살인한 곳을 조사하려 함 - 조선왕조실록

1728년 목호룡의 난에 연루된 목시룡과 김영해를 처형함 - 조선왕조실록

1735년 효장 세자빈 조씨를 책봉하여 현빈으로 삼음 - 조선왕조실록

1745년 어전에서 시위하는 별군직을 군문에서 차출하지 말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60년 한양 안 하천을 치는 준천사(濬川司)의 업무 기록인 《준천사실(濬川事實)》을 만들도록 함 - 조선왕조실록

1769년 수령을 통제사와 상피하지 않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71년 홍봉한을 삭출하는 형률을 거둠 - 조선왕조실록

1779년 규장각에서 역대 왕들이 지은 시문을 편찬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80년 문과 전시를 행하여 김우해 등 44인을 선발함 - 조선왕조실록

1795년 서운관에서 《협길통의(協吉通義)》를 올림 - 조선왕조실록

1801년 정순 왕후가 천주교에 연루된 은언군 이인의 처와 며느리를 사사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811년 경복궁에서 경과(慶科) 정시 문과(庭試文科)를 시행함 - 조선왕조실록

1820년 호서 도회소 곡물 장부를 훔친 죄인을 사형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835년 언서(한글)로 윤음을 위조한 최공필이 처형됨 - 조선왕조실록

1842년 한성과 팔도의 원호(元戶) 및 인구수를 통계함 - 조선왕조실록

1893년 시카고 만국 박람회 참가 - 근대사 연표

1909년 통감부, 철도 관리국제 폐지, 철도청 설치 - 근대사 연표

1914년 〈지세령〉 공포(7.1. 시행). 과세 중 55% 점유하여 식민 통치의 조세 수입 원천이 됨 - 근대사 연표

1923년 방정환·윤극영 등, 도쿄에서 색동회 조직 - 근대사 연표

1924년 진주·마산에서 관동 대진재 당시 학살 동포 추도회 거행 - 근대사 연표

1940년 조선총독부, 「호적 등본」 대신 「호적 초본」 사용 지시 - 근대사 연표

1947년 입법 의원, 국립 서울 종합 대학안(국대안) 수정 통과, 총장을 한국인으로 교체 - 대한민국사 연표

1947년 조선 적십자사 창립 총회(총재 김규식) - 대한민국사 연표

1948년 북한·중공, 〈비밀 군사 협정〉 체결, 중국 통일 후 팔로군의 조선인 5만 명, 1950년 초까지 지원 - 대한민국사 연표

1952년 〈법원 조직법〉 개정, 대법관을 10명으로 증원 - 대한민국사 연표

1960년 마산 시위 관련자를 〈형법〉과 〈국가보안법〉으로 엄벌 방침 발표 - 대한민국사 연표

1960년 아이젠하워 미 대통령, 한국 선거의 폭력 사태에 유감 표명 - 대한민국사 연표

1963년 박정희 국가 재건 최고 회의 의장, 4년간 군정 연장 제의 및 국민 투표 회부 등 중대 성명 - 대한민국사 연표

1969년 서울시, 시민 아파트 건설 예정 지역 내 판잣집 6,668동 강제 철거 착수 - 대한민국사 연표

1982년 정부 청사 재배치 계획 발표, 법무·농수산·건설·보사·과기처를 과천청사로 이전, 중앙청을 국립 중앙 박물관으로 사용 등 - 대한민국사 연표

1991년 대구에서 수돗물 악취 소동으로 공급 중단 - 대한민국사 연표

1994년 김영삼 대통령, 상문고등학교 비리 사건에 검찰의 즉각 수사 착수 지시 - 대한민국사 연표

1995년 공보처, 여론 조사 결과 사법 개혁 필요 응답이 83.4%라고 발표 - 대한민국사 연표

2002년 노무현 후보, 새천년민주당 대선 후보 광주 지역 경선에서 1위 - 대한민국사 연표

2002년 공무원 노동 조합 총연맹 공식 출범 - 대한민국사 연표

2006년 한나라당·민주당·민주노동당 등, 여기자 성추행한 최연희 의원의 의원직 사퇴 권고 결의안 제출 - 대한민국사 연표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역사] 3월 18일  (1) 2025.03.18
[오늘의 역사] 3월 17일  (2) 2025.03.17
[오늘의 역사] 3월 15일  (2) 2025.03.15
[오늘의 역사] 3월 14일  (1) 2025.03.14
[오늘의 역사] 3월 13일  (1) 2025.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