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93년 행주대첩에서 승리하였습니다.
권율과 3천의 조선군이 3만의 일본군으로부터 행주산성에서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병사들을 쉬게하자는 권율의 명령을 거부하고 병사들을 동원해 목책을 쌓은 조경 장군 그리고 한강까지 판옥선을 이끌고 화살을 보급한 정걸 장군이 없었다면 행주대첩의 승리는 없었을 지도 모릅니다.
1083년 송에서 보낸 대장경을 개국사에 안치함 - 고려사
1098년 태자를 세우고 태자부의 관청과 관리를 둠 - 고려사
1127년 묘청의 말을 듣고 상안전에서 관정도량을 엶 - 고려사
1271년 몽고에서 고려 백성과의 무기 및 말 거래를 금함 - 고려사
1394년 공양군(공양왕) 부자를 삼척으로 옮김 - 조선왕조실록
1414년 어버이의 병환에 휴가를 받을 수 있게 하는 근친 급가법(覲親給暇法)을 제정함 - 조선왕조실록
1438년 중추원사 이종선 죽음 - 조선왕조실록
1461년 최항·한계희 등에게 한글로 잠서(蠶書)를 번역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472년 의원들의 학업을 권장하는 등 의학 장려책을 마련함 - 조선왕조실록
1473년 전라도에 감초 재배를 권장함 - 조선왕조실록
1489년 산불로 양양 낙산사·간성 학교 등이 불탐 - 조선왕조실록
1491년 사찰 조세를 관에서 직접 거두게 함 - 조선왕조실록
1511년 최숙정·성현·어세겸 등 성종 대 명현들의 문집을 간행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525년 유세창·유세영 형제가 윤탕빙 등이 역모를 꾀하고 있다고 고함 - 조선왕조실록
1528년 흙비와 우박이 내림 - 조선왕조실록
1546년 윤원로를 안치시킴 - 조선왕조실록
1553년 양인과 천인 간 혼인 금지법을 제정함 - 조선왕조실록
1623년 광해를 폐위하여 군으로 강등함 - 조선왕조실록
1688년 강양도(강원도)에 전염병으로 사망자 1,200여 명 발생 - 조선왕조실록
1728년 최규서가 장흠·안박의 역모와 관련된 급변을 올림 - 조선왕조실록
1728년 박필용·심유현의 역모로 민심이 혼란해져 피난 가는 사람들도 나타남 - 조선왕조실록
1739년 봉조하 이태좌가 고 참판 이세필이 지은 《왕조예문(王朝禮文)》을 바침 - 조선왕조실록
1747년 영조가 옥대명(玉帶銘)을 친히 지어 내림 - 조선왕조실록
1765년 사치를 경계하기 위하여 어사화(御賜花)는 을유년(1705년)의 예에 따라 만들게 함 - 조선왕조실록
행주대첩
1765년 경기 안성에서 화재로 민가 260호가 연소됨 - 조선왕조실록
1798년 강원도 낭천에서 화재로 민가 41호가 연소됨 - 조선왕조실록
1824년 전라도에 표류해온 대국인을 육로로 호송함 - 조선왕조실록
1832년 호남의 탄보묘(誕報廟)와 영남의 관왕묘(關王廟)에 의대와 포진을 갖추게 함 - 조선왕조실록
1841년 장수들에게 죽전립(竹戰笠) 대신 모전립(毛戰笠)을 쓰게 함 - 조선왕조실록
1860년 《오륜행실(五倫行實)》 간행 관련자에게 시상함 - 조선왕조실록
1904년 철도 감부, 한국 주재 군사령관 예하에 전속 - 근대사 연표
1910년 〈임시 토지 조사국 관제〉 제정(9.30. 공포), 토지 약탈 합법화 - 근대사 연표
1912년 창덕궁 박물관 준공 - 근대사 연표
1919년 블라디보스토크의 한인 가호(家戶)에 태극기 배부, 매 호당 5루블씩 독립 운동 자금 모금 - 근대사 연표
1927년 〈조선 농회령〉에 따라 조선 농회 설립 - 근대사 연표
1939년 친일 단체 황군 위문 작가단, 군사 후원을 목적으로 발단 - 근대사 연표
1944년 급행 열차 전폐 - 근대사 연표
1945년 〈결전 교육(決戰敎育) 조치 요강〉 발표, 국민학교 이외 1년간 학업 정지 - 근대사 연표
1946년 미 군정, 미곡 배급 방침 발표 - 대한민국사 연표
1950년 국회 프락치 사건, 최종 언도 공판에서 전원 유죄 판결 △노일환·이문원 징역 10년, 김약수·박윤원 징역 8년, 김옥주·강욱중·김병회·황윤호 징역 6년 등 - 대한민국사 연표
1951년 70여일 만에 서울 재수복 - 대한민국사 연표
1960년 부산시 당국, 3·15 선거 하루 앞두고 시내 고등학교에 등교 중지 지시 - 대한민국사 연표
1963년 소설가 염상섭 사망 - 대한민국사 연표
1970년 한·미·일 국제 프로 레슬링 대회 - 대한민국사 연표
1978년 보사부, 〈가정 의례 준칙〉 위반 집중 단속, 예식장 폐백실 폐쇄 결정 - 대한민국사 연표
1978년 박동선, 5일간의 미 상원 윤리 위원회 증언 시작 - 대한민국사 연표
1981년 사법 시험 제3차 면접 시험에서 시국 관련 시위 전력 응시자를 일괄 불합격 조치 - 대한민국사 연표
1985년 국무회의, 학도호국단 9년 9개월 만에 폐지 의결, 대학 자치 활동 보장 - 대한민국사 연표
1998년 금 모으기 운동 1차 모금 운동 결과, 국민 23% 참여, 금 225톤 수집 - 대한민국사 연표
1999년 황장엽 전 북한 노동당 비서, 1995년~98년 말 북한 기근 사망자 300만 명 이상이라고 주장 - 대한민국사 연표
2003년 노무현 대통령, 대북 송금 특별 검사법 수용 - 대한민국사 연표
2004년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 개봉 39일 만에 전국 관객 1천만 명 돌파, 종전 기록 19일 단축 - 대한민국사 연표
2007년 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위원회, 9,100여 건에 대한 진실 규명 작업에 착수 - 대한민국사 연표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역사] 3월 16일 (1) | 2025.03.16 |
---|---|
[오늘의 역사] 3월 15일 (2) | 2025.03.15 |
[오늘의 역사] 3월 13일 (1) | 2025.03.13 |
[오늘의 역사] 3월 12일 (2) | 2025.03.12 |
[오늘의 역사] 3월 11일 (3)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