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3년 김윤후가 몽골군 총사령관 살리타를 죽였습니다.
2차 몽골 칩입이 발발하고 고려 최우 정권은 강화도로 천도합니다. 몽골의 살리타는 대구 부인사에 있는 초조대장경을 불태웁니다. 고려의 승려인 김윤후는 지금의 용인 에버랜드 근처 처인성에서 부처님을 대신해 몽골의 총사령관 살리타를 사살합니다. 부처님께 혼난걸까요? 이후 초조대장경을 읽은 고려인들은 팔만대장경 작업에 들어갑니다.
991년 처음으로 사직단을 세움 - 고려사
995년 문관들에게 정례적으로 시·부를 지어 바치게 함 - 고려사
1009년 강조가 왕을 폐위시킨 후 시해하고 대량원군을 옹립함 - 고려사
1278년 김방경과 김흔을 섬에 유배보냄 - 고려사
1282년 원에서 몽한군을 보내 탐라를 수비하게 함 - 고려사
1292년 종묘사직을 개경으로 옮김 - 고려사
1392년 정몽주가 「신정률」을 지어 왕에게 바침 - 고려사
1410년 여진 올적합 부족이 경원에 침입함 - 조선왕조실록
1412년 공을 세운 신하에게 특별히 내려 주는 토지인 별사전(別賜田)의 세습을 금함 - 조선왕조실록
1412년 금주령을 내림 - 조선왕조실록
1446년 각 도에 숨겨진 염분(鹽盆)을 지속적으로 찾아내도록 함 - 조선왕조실록
1472년 강원도의 삼봉도(三峯島, 독도)를 찾게 함 - 조선왕조실록
1477년 창덕궁 후원에 친잠단(親蠶壇) 터를 정함 - 조선왕조실록
1600년 인출(印出)·반포 목적으로 서책을 모으게 함 - 조선왕조실록
1602년 이덕형이 영의정이 됨 - 조선왕조실록
1617년 관리들이 백성의 집을 빼앗지 못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631년 권대진의 역모가 발각됨 - 조선왕조실록
1637년 고아를 키워서 노비로 삼는 것을 허락함 - 조선왕조실록
1640년 제주 조운선이 난파됨 - 조선왕조실록
1662년 진휼곡으로 속량(贖良, 돈이나 곡식을 내고 양인이 되는 것)할 수 있게 함 - 조선왕조실록
1664년 서필원이 송시열을 배척하여 상소함 - 조선왕조실록
1671년 전라도에서 굶어죽은 사람 239명, 전염병 사망자 1,752명으로 집계 - 조선왕조실록
1671년 제주에서 많은 눈으로 91명의 사망자 발생 - 조선왕조실록
1717년 황당선 압송의 폐단을 고침 - 조선왕조실록
1751년 왕이 타는 연여(輦輿)에 금(金)으로 그리지 못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62년 왕세손빈(효의 왕후)의 조현례를 행함 - 조선왕조실록
1770년 어버이 나이 70세에 외아들인 경우 종군을 면제함 - 조선왕조실록
1771년 이인(은언군)과 이진(은신군)을 유배함 - 조선왕조실록
1798년 화성의 백성들에게는 환곡에 대한 모곡이 없도록 함 - 조선왕조실록
1805년 경상도 영해에서 화재로 민가 157호가 연소되고 사망자 4명 발생 - 조선왕조실록
1847년 왕이 궁궐 밖으로 거둥할 때 시위의 복색을 군복으로 정제하도록 함 - 조선왕조실록
1876년 접견 대관 신헌, 부관 윤자승, 강화 연무당에서 일본 대표와 조일 수호 조규(강화도 조약) 서명 날인 - 근대사 연표
1887년 서울 상인들, 외국인의 용산 이주 반대하며 폐점, 시위 운동 전개 - 근대사 연표
1895년 일본, 내정 간섭을 강화하고자 관세 담보로 조선에 300만원 대부 - 근대사 연표
1907년 하와이 이주 한인들, 올라에거 국민공동회 조직 - 근대사 연표
1910년 이용구, 일본 신문 〈동양일보〉에 「한일 합방의 의의」 글 발표 - 근대사 연표
1923년 일제, 〈문관 임용령〉에 따라 중학교·고등보통학교·사범학교·전문학교에 교원 배치 결정 - 근대사 연표
1939년 조선총독부, 경무국에 방호과 신설 - 근대사 연표
1940년 조선총독부, 식산국과 각 도청에 물가 조절과 설치하여 침략 전쟁 물자 보장 강화 - 근대사 연표
1940년 경성부, 호적과에 창씨 상담소 설치 - 근대사 연표
1946년 광복군 500여 명, 중국에서 환국 - 대한민국사 연표
1956년 한국·미국, 원자력 협정 조인 - 대한민국사 연표
1962년 박정희 최고 회의 의장, 국교 정상화 전 일본의 민간투자 문호 개방 언명 - 대한민국사 연표
1966년 조선 왕조 마지막 황후 순정 효황후(1894~1966) 사망 - 대한민국사 연표
1967년 영화 감독 유현목, 〈반공법 위반〉 등으로 징역 1년 6월 선고 - 대한민국사 연표
1970년 전국 10개 도시에서 무시험 중학 입학 추첨 실시 - 대한민국사 연표
1981년 전두환·레이건 미국 대통령 정상 회담, 주한 미군 철수 계획 백지화 등 14개항 공동 성명 - 대한민국사 연표
1982년 서울시 경찰청, 통행 금지 해제 후 첫 야간 우범 단속에서 1만 1,679명 연행, 296명 구속 - 대한민국사 연표
1989년 대한 항공기 폭파범 김현희, 〈국가보안법〉 등 위반 혐의로 구속 기소 - 대한민국사 연표
1990년 상공부, 과도하게 임금 인상한 기업을 정책 금융 지원 대상에서 제외키로 결정 - 대한민국사 연표
1997년 국제 방송 교류 재단, 외국어 전용 방송 아리랑텔레비전(채널 50) 개국 - 대한민국사 연표
1997년 북한, 이례적으로 국제 사회에 식량 지원 요청 - 대한민국사 연표
2005년 헌법 재판소, 호주제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 - 대한민국사 연표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역사] 2월 5일 (3) | 2025.02.05 |
---|---|
[오늘의 역사] 2월 4일 (1) | 2025.02.04 |
[오늘의 역사] 2월 2일 (4) | 2025.02.02 |
[오늘의 역사] 2월 1일 (6) | 2025.02.01 |
[오늘의 역사] 1월 31일 (2)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