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66년 병인박해로 프랑스 신부들이 처형되었습니다.
유생들의 지지를 배경으로 흥선대원군은 천주교 탄압을 시작합니다. 조선인 신도가 무려 8천여 명이나 죽었고 프랑스 신부 12명 중 9명이 참수당합니다. 그 과정에서 살아남은 신부 리델은 여장을 한 채 가마를 타고 청나라 텐진까지 탈출하여 프랑스 극동함대 사령관 로즈 제독에게 조선의 기독교 박해 소식을 전했습니다. 이에 분노한 로즈 제독은 함대를 이끌고 조선을 침략하니 바로 병인양요입니다.
993년 종묘제도에 관한 교서를 내림 - 고려사
1087년 왕이 흥왕사에 가서 대장전 낙성을 경축함 - 고려사
1352년 전왕(충정왕)이 강화에서 독을 먹고 사망함 - 고려사
1399년 한양에서 개성으로 다시 천도함 - 조선왕조실록
1406년 돈을 내면 형벌을 경감해 주는 죄인 속전법을 제정함 - 조선왕조실록
1407년 은 채광을 중지함 - 조선왕조실록
1423년 서원 부원군 한상경 죽음 - 조선왕조실록
1451년 화차에 방패를 붙이지 않기로 함 - 조선왕조실록
1515년 왕비(중종의 제1 계비)의 시호를 장경(章敬)으로 정하고 능호(陵號)는 희릉(禧陵)으로 함 - 조선왕조실록
1524년 세자(인종)가 박씨(인성 왕후)를 빈으로 맞아들임 - 조선왕조실록
1526년 함경도에서 여역으로 인한 사망자가 357명 발생 - 조선왕조실록
1610년 이준경·이황을 선조 묘정에 배향함 - 조선왕조실록
1631년 강릉 집경전이 불탐 - 조선왕조실록
1640년 소현 세자가 심양에서 일시 귀국함 - 조선왕조실록
1659년 대마 도주가 왜관을 부산성 안으로 옮겨 주기를 요청함 - 조선왕조실록
1680년 강원도 통천 등 다섯 고을에서 산불로 민가 536호가 연소됨 - 조선왕조실록
1725년 김창집·이이명·이건명·조태채 등에게 관직을 추증하고 시호를 내리도록 함 - 조선왕조실록
1733년 경상도에 역병이 돌아 800여 명이 죽음 - 조선왕조실록
1736년 청나라 사신이 삼전도 비를 보러 감 - 조선왕조실록
1744년 영조 사친의 구호(舊號)를 높여 묘호(廟號)는 육상, 묘호(墓號)는 소령으로 고침 - 조선왕조실록
1771년 해로를 중히 여겨 장연에 병영을 설치함 - 조선왕조실록
1781년 서도(西道, 평안도와 황해도)에서 환곡을 내주고 수납하는 조적(糶糴)을 본 읍에서 주관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89년 규장각 검서관의 근무 연한을 30개월로 함 - 조선왕조실록
1804년 춘당대 문무과가 실시됨 - 조선왕조실록
1835년 대왕대비(순원 왕후)가 산릉(山陵)을 교하(交河)의 장릉(長陵) 국내(局內)로 정함 - 조선왕조실록
1866년 지방관에게 천주교도 수색을 빙자한 포교와 나졸들의 작폐 엄금하라고 명령 - 근대사 연표
1867년 일본인 하치노부 준슈큐[八戶順叔]가 〈북경신문〉에 기고한 정한론 힐책 - 근대사 연표
1886년 알렌·헤론·언더우드 등, 관립 의학교 창설 - 근대사 연표
1899년 종합 병원 제생의원, 산부인과,소아과,내과,안과 등 진료 시작 - 근대사 연표
1911년 일 중의원, 한일 합방을 사후 승인함 - 근대사 연표
1917년 중국 정부, 1909년 간도 협약에 의거 재만 한인의 거주권 및 토지 소유권 인정 - 근대사 연표
1946년 대중 오락장에서의 일본 가요 음반 사용 금지 - 대한민국사 연표
1946년 경부선 특급 열차 운행 - 대한민국사 연표
1947년 남경 주재 한국 임시 정부 대표단, 미국·영국·중국·소련·프랑스 5개국에 조선 독립 요구서 발송 - 대한민국사 연표
1953년 경남 통영의 용초도 포로 수용소 폭동, 23명 사살·42명 부상 - 대한민국사 연표
1954년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선발전에서 한국 국가 대표팀이 일본에 5대 1로 승리 - 대한민국사 연표
1961년 <데모 규제법> 성안 - 대한민국사 연표
1972년 박정희 대통령, 지방 장관 회의서 새마을 정신의 범국민화 유시 - 대한민국사 연표
1979년 철도청·전매청 공사화 추진 및 정부 출자 기관 민영화 방침 수립 - 대한민국사 연표
1988년 문교부, 국공립 초·중·고교장 임기제를 1989년부터 실시한다고 발표 - 대한민국사 연표
1989년 대한항공 858기 폭파범 김현희, 1년 3개월 만의 첫 공판에서 공소 사실 모두 시인 - 대한민국사 연표
1995년 한글 타자기 발명한 공병우(1906~1995) 박사 사망 - 대한민국사 연표
2002년 육군 사관 학교 58기 졸업식, 20명의 첫 여성 장교 배출 - 대한민국사 연표
2003년 서울 지방 검찰청 평검사 70여 명, 법무부 장관의 인사 정책에 반발 - 대한민국사 연표
2004년 대법원, 부동산 등기부 등본 인터넷 출력 서비스 실시 - 대한민국사 연표
2005년 고려대, 일제 식민 지배 미화와 관련하여 한승조 명예 교수 사퇴서 수리 - 대한민국사 연표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역사] 3월 9일 (4) | 2025.03.09 |
---|---|
[오늘의 역사] 3월 8일 (1) | 2025.03.08 |
[오늘의 역사] 3월 6일 (2) | 2025.03.06 |
[오늘의 역사] 3월 5일 (1) | 2025.03.05 |
[오늘의 역사] 3월 4일 (2)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