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 2.28 학생의거가 일어났습니다.
당시 민주당 부통령 후보 장면의 유세장에 많은 인파가 몰릴 게 두려웠던 자유당 이기붕 후보는 대구 교육청과 손잡고 이런 지침을 내렸습니다. "3월 기말고사를 당겨 일요일에 시험을 보게하겠다.토끼사냥을 해야 하니 일요일에 등교를 하라." 초등학생을 포함한 대구 지역 학생 1,200여 명은 이승만 타도를 외쳤습니다. 일요일에 학생들 등교시는 거 아닙니다.
919년 요양 고성을 수리하여 발해 민호를 채우고 동평군으로 삼음 - 중국사서
1109년 요에 사신을 보내 동계 9성의 신축을 알림 - 고려사
1109년 양규의 전공을 기려 그 후손에게 은합을 하사함 - 고려사
1146년 왕이 유조를 남기고 보화전에서 훙서함 - 고려사
1422년 경산도 영산에 지진이 남 - 조선왕조실록
1497년 충청도 여러 고을에 천둥이 치고 큰 우박이 내림 - 조선왕조실록
1508년 경연관에서 잔치할 때 사관(史官)도 참석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511년 함경도에 봉화대를 추가 설치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513년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에 중종반정 관련 인물을 반영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523년 좌찬성 이계맹 죽음 - 조선왕조실록
1558년 평안도 의주에 흙비가 내림 - 조선왕조실록
1571년 예조에서 여씨향약(呂氏鄕約) 시행을 주청함 - 조선왕조실록
1578년 순무어사(巡撫御史)를 양계와 하삼도에 보냄 - 조선왕조실록
1614년 중국으로 가는 사신들에게 시정 잡인을 거느리지 못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637년 청나라 숭덕 연호를 사용함 - 조선왕조실록
1640년 평안도에 흙비가 내림 - 조선왕조실록
1656년 일본에서 통신사 조형 등이 돌아옴 - 조선왕조실록
1718년 전염병으로 인해 경상도 환자 2,424명, 사망 297명, 충청도 환자 2,528명, 사망 595명, 평안도 환자 25,160명, 황해도 환자 360명, 전라도 환자 650명, 사망 240명으로 집계 - 조선왕조실록
1733년 청나라 상인 16인이 제주도에 표류하여 압송함 - 조선왕조실록
1792년 평택 안핵 어사를 파견하여 이승훈과 천주교 문제를 조사함 - 조선왕조실록
1794년 춘당대에 거둥하여 정시의 전시를 거행함 - 조선왕조실록
1804년 정순 왕후에게 광헌(光獻)의 존호를 더 올림 - 조선왕조실록
1826년 임진왜란 때 조선을 도운 명나라에 보답하고자 만든 황단(皇壇)의 제향관 단자(單子)에 청나라 연호를 쓴 일로 이조 참의 이규현을 삭직함 - 조선왕조실록
1884년 부산∼나가사키 간 해저 전선 개통 - 근대사 연표
1907년 나인영·오기호, 을사 5적 박제순·이지용 자택에 폭발물 우송, 실패 - 근대사 연표
1908년 의병장 허위의 선착 부대, 일본군 기습에 서울 진격 실패 - 근대사 연표
1913년 임병찬, 독립의군부(獨立義軍府) 조직 - 근대사 연표
1919년 윤익선·이종일·이종린 등, 보성사에서 지하 신문 〈조선독립신문〉 간행 - 근대사 연표
1946년 전국 실업자 160만 명 - 대한민국사 연표
1948년 멸치 27만관(1,080톤), 일본에 수출 - 대한민국사 연표
1958년 경찰, 전국 깡패 일제 단속에 2,289명 검거(학생 30%) - 대한민국사 연표
1960년 민주당, 20만 군중 모인 대구에서 정견 발표 - 대한민국사 연표
1967년 장준하, 박정희 대통령 명예 훼손죄로 징역 6월 선고 - 대한민국사 연표
1978년 코리아게이트의 박동선, 미 하원 윤리 위원회에서 비공개 증언 - 대한민국사 연표
1987년 북한의 금강산댐에 맞서 강원도 화천군 '평화의 댐' 착공 - 대한민국사 연표
1989년 체신부, 정권 선전의 도구로 이용된 '대통령 기념 우표' 발행 중지 결정 - 대한민국사 연표
1992년 김구 암살범 안두희, 권중희 등에 의해 서울 효창공원 김구 묘소 앞으로 끌려감 - 대한민국사 연표
1994년 제17회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 종합 6위 차지(금메달 4·은메달 1·동메달 1개) - 대한민국사 연표
1996년 서울 지방 검찰청,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명목상 발포 명령 책임자는 ‘전두환 보안 사령관’이라고 공식 발표 - 대한민국사 연표
1998년 육군 사관 학교, 최초로 여생도 24명 입교 - 대한민국사 연표
2001년 분단 후 최초로 평양에서 남북 역사 학자 간담회 개최 - 대한민국사 연표
2007년 노무현 대통령, 당내 갈등 해소 위해 열린우리당 탈당 - 대한민국사 연표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역사] 3월 2일 (4) | 2025.03.02 |
---|---|
[오늘의 역사] 3월 1일 (1) | 2025.03.01 |
[오늘의 역사] 2월 27일 (0) | 2025.02.27 |
[오늘의 역사] 2월 26일 (1) | 2025.02.26 |
[오늘의 역사] 2월 25일 (0) | 2025.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