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4년 (음력 10월 17일) 갑신정변이 발발하였습니다.
갑신정변(甲申政變)은 1884년(갑신년)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김옥균을 중심으로 한 급진 개화파가 서구식 근대화를 목표로 일으킨 쿠데타다. 일본 공사 다케조에 신이치로와 일본군의 지원을 받아 우정총국 개국 축하연에서 난을 일으켰다. 고종을 속이고 새 내각을 구성해 정강 14조 등 개혁을 추진하려 했으나 청군이 창덕궁에 주둔한 일본군을 공격하고 민중들이 일본공사관을 공격하자 퇴각하는 일본군을 따라 일본으로 망명하여 삼일천하로 끝났다.
1107년 윤관과 오연총이 전쟁을 시작함 - 고려사절요
1134년 황주첨이 황제 칭호와 연호를 사용하자고 건의함 - 고려사
1228년 평장사 왕규가 사망함 - 고려사
1308년 원이 하정사를 보내 『세대편년절요』 등을 바치게 함 - 고려사
1320년 원 황제가 상왕을 토번으로 유배보냄 - 고려사
1392년 정총에게 《대장경》 발원문을 짓게 함 - 조선왕조실록
1412년 이조에서 인사 규정을 일부 개정함 - 조선왕조실록
1419년 병마절제사·수군절제사·경력·도사를 없애고 3군 녹사로 대신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423년 지방 의녀를 계수관의 관비 중에서 선발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506년 사학(四學)을 수리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589년 정언신이 정여립 사건에 연루되어 남해로 유배됨 - 조선왕조실록
1599년 남이공·김신국이 사당(私黨)을 만들어 조정을 농락했다는 이유로 관작이 삭탈됨 - 조선왕조실록
1628년 서울과 지방에서 장정을 선발하여 어영군에 충당함 - 조선왕조실록
1672년 사적으로 돈을 주조한 죄인의 사형을 감해주고, 사적인 주조를 금하지 말도록 함 - 조선왕조실록
1682년 진휼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공명첩을 발급함 - 조선왕조실록
1711년 중궁전(인원 왕후)이 마마를 앓음 - 조선왕조실록
1749년 여역으로 5,60만 명이 사망하였므로 경성과 각 도에 여제를 베풀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78년 봉조하 홍봉한 죽음 - 조선왕조실록
1786년 왕대비(정순 왕후)가 상계군 이담의 처벌을 요구하며 탕약을 거절함 - 조선왕조실록
1787년 올해 강변 주민의 얼음 캐는 역을 면제하여 줌 - 조선왕조실록
1789년 비변사에서 주교사 설치에 대하여 건의함 - 조선왕조실록
1800년 강화에 표류한 중국인 6명을 육로로 호송함 - 조선왕조실록
1813년 양제해 모반 사건 후 제주도에 안핵 겸 위유사를 파견함 - 조선왕조실록
1816년 비국에서 의금부 나졸들이 비국 하인을 구타한 일에 대해 엄단해 줄 것을 청함 - 조선왕조실록
1820년 태묘 의궤의 수정을 마침 - 조선왕조실록
1882년 통리 내무 아문·통리 아문, 통리 군국 사무 아문·통리 교섭 통상 사무 아문으로 각각 개칭 - 근대사 연표
1899년 〈독립신문〉, 4년 만에 폐간 - 근대사 연표
1909년 일진회 회장 이용구, 순종 황제·통감·이완용에게 합방 상주문·청원서 제출 - 근대사 연표
1922년 일제, 한국 역사 말살하고 한국인의 민족 자주 의식을 거세하기 위해 <조선사 편수 위원회 규정> 발포 - 근대사 연표
1927년 상해 청년회, 상해 북경 남경 광동 무한의 각 대표가 참석한 임시 총회 열고 한인 청년 동맹회 결성 - 근대사 연표
1936년 화신백화점 준공 - 근대사 연표
1946년 〈지방 선거제〉 발령, 군수·읍장 선거 - 대한민국사 연표
1948년 국회 본회의, 반민족 행위 특별 재판부 부장 김병로·특별 검찰관장 권승렬 선출 - 대한민국사 연표
1961년 구법(舊法) 정리 완료. 폐기 99건·신설 대체 189건 - 대한민국사 연표
1971년 청룡 부대 1진, 6년 만에 베트남 철수 개시 - 대한민국사 연표
1973년 장준하, 개헌 청원 100만인 서명 운동 발기인 대회 발족 - 대한민국사 연표
1986년 인천 지방 법원, 부천 경찰서 성고문 사건 피해자 권인숙에게 공문서 변조·사문서 위조 이유로 1년 6개월 선고 - 대한민국사 연표
1992년 오창림 북한 외교부 대사, 국제 원자력 기구 핵사찰 수용 언명 - 대한민국사 연표
1995년 광주시 의사회, 5·18 당시 계엄군 총격 사상자 의료 일지와 계엄군이 요구한 각서·보증서 공개 - 대한민국사 연표
1997년 국무회의, 국제 통화 기금 대기성 차관 의향서 협상 과정·내용 의결 - 대한민국사 연표
1999년 김태정 전 검찰 총장, 옷 로비 내사 문건 유출 관련 구속 - 대한민국사 연표
2005년 MBC, PD수첩의 취재 윤리 위반 관련 대국민 사과 - 대한민국사 연표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역사] 12월 6일 (1) | 2024.12.06 |
---|---|
[오늘의 역사] 12 월 5일 (2) | 2024.12.05 |
[오늘의 역사] 12월 3일 (1) | 2024.12.03 |
[오늘의 역사] 12월 2일 (6) | 2024.12.02 |
[오늘의 역사] 12월 1일 (1) | 2024.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