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역사] 4월 10일
1900년 한성전기회사가 종로에서 최초의 민간 가로등 3개를 점등하다.
지금으로부터 118년 전인 1900년 4월 10일에는 한성전기회사 사옥(현재 YMCA 옆 장안빌딩 자리) 주변에 설치된 전기 가로등 3개가 불을 밝혔습니다. 누구나 볼 수 있는 길거리에 등장한 전등은 이것이 처음이었습니다. 이듬 해 6월 17일에는 경운궁 안에 6개의 전등을 설치했고, 8월 19일 밤 11시, 서울 동대문 전기 차고에 수많은 시민이 모인 가운데 육군 부장 민영환이 예식용 스위치를 눌렀습니다. 순간 종로 주요 교차로에 설치된 전기 가로등에 불이 들어왔습니다.
1307년 서흥후 왕전과 왕유소 일당을 처형함 - 고려사
1396년 금주령을 내림 - 조선왕조실록
1401년 중국의 상징인 황색(黃色)의 사용을 금함 - 조선왕조실록
1526년 경기·충청·강원·경상도 등지에 우박이 내림 - 조선왕조실록
1531년 이항(李沆)이 유배됨 - 조선왕조실록
1535년 의정부 건물에 불이 남 - 조선왕조실록
1609년 충청도 연산에 흙비가 2일 동안 내림 - 조선왕조실록
1611년 성균관 유생들이 정인홍(鄭仁弘)을 배척할 것을 상소함 - 조선왕조실록
1653년 홍청도(洪淸道)를 충청도(忠淸道)로 고침 - 조선왕조실록
1658년 실록을 오대산(五臺山) 사고에 봉안함 - 조선왕조실록
1675년 정초청(精抄廳, 기병 양성을 목적으로 설치한 관청)을 폐지하여 병조에 소속시킴 - 조선왕조실록
1694년 김만중(金萬重, 《구운몽》의 저자)의 관작을 회복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04년 임진왜란 때 구원병을 보낸 명나라 신종 황제의 사당 건립을 논의함 - 조선왕조실록
1716년 《오례의(五禮儀)》에 어긋나는 종묘의 제물(祭物)을 바로잡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19년 경리청(經理廳) 폐지를 논의함 - 조선왕조실록
1721년 전쟁 때 없어진 혼천의를 만들어 관상감에 보관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24년 어세(漁稅)를 이중으로 거두지 못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25년 영조가 탕평(蕩平)에 관해 전교함 - 조선왕조실록
1728년 이인좌의 난에 연루된 이만구(李萬衢)가 효시됨 - 조선왕조실록
1734년 조선의 책력(冊曆)이 청나라와 달라 사신 편에 책력 만드는 법을 배워 오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42년 시학(視學)할 때 강관(講官)의 인원 수를 정함 - 조선왕조실록
1779년 이진후(李鎭厚) 등 고변 관련 인물을 친히 국문(鞫問)함 - 조선왕조실록
1781년 금군의 폐단을 개혁하기 위한 대책을 올리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81년 무관 양성에 힘쓰라고 명함 - 조선왕조실록
1785년 감사들이 부임 후 도내 죄수 관련 보고 문서를 철저히 규명할 것을 법식으로 정함 - 조선왕조실록
1786년 홍역이 유행하여 여제(厲祭)를 지내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93년 전염병이 심한 호서·영남 지역에 여제(厲祭)를 지내게 함 - 조선왕조실록
1803년 문묘에 나아가 작헌례를 행하고, 다시 춘당대에 나아가 알성시를 행함 - 조선왕조실록
1805년 경상감사가 사창(社倉)의 폐단에 대해 상소함 - 조선왕조실록
1806년 연설(筵說)을 고치려 한 서유순과 기거주 서기수를 삼수·갑산으로 유배보냄 - 조선왕조실록
1811년 황해도 서흥에서 화재로 민가 241호가 연소되고 사망자 2명 발생 - 조선왕조실록
1816년 왕실의 족보 요약본인 《선원보략(璿源譜略)》을 증보(增補) 편찬함 - 조선왕조실록
1833년 술에 대한 금령을 늦춤 - 조선왕조실록
1900년 한성 전기 회사, 종로에 전등 3개 시설, 최초의 민간 가로등 - 근대사 연표
1909년 일본 총리 대신 가쓰라다로[桂太郞]·외상 고무라 주타로[小村壽太郞]·통감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한일 합방〉 방침 밀의 - 근대사 연표
1911년 박용만, 『국민개병설』(신한민보사) 저술, 군인 양성 장려 - 근대사 연표
1925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의정원, 〈구미위원부 폐지령〉 공포 - 근대사 연표
1939년 일제, 못·철사·납·철판의 배급 통제 실시 - 근대사 연표
1946년 미 군정청, 미소 공동 위원회 개최 중 시위 행진 금지 - 대한민국사 연표
1946년 호남선 직통 열차 부활 - 대한민국사 연표
1948년 해방 후 첫 제14회 런던 올림픽 선수단 70명 파견 결정 - 대한민국사 연표
1951년 맥아더 장군, 트루먼 미 대통령의 아시아 정책 비난 - 대한민국사 연표
1957년 서울 법대생, 이승만 대통령의 양아들 이강석 입학 반대 동맹 휴학 - 대한민국사 연표
1961년 창신동 전등 과열로 화재 발생, 판잣집 225동 소실·이재민 1,600명·피해액 2,200여만 환 - 대한민국사 연표
1970년 병역 기피자에 대한 일제 단속 시작 - 대한민국사 연표
1972년 한국 히말라야 등반대 조난, 김우섭·송준행·오세근·박창희 등 15명 사망 - 대한민국사 연표
1980년 한국 개발 연구원, 땅값이 1963~74년 26배 올라 물가 상승률보다 2배 초과했다고 발표 - 대한민국사 연표
1989년 공안 합동 수사 본부, 북한 원전 등 이념 서적을 출판·판매한 11개 출판사, 296개 서점에 대한 압수 수색 실시 - 대한민국사 연표
1993년 각종 서류의 도장 날인을 신청인 자필 서명과 지장으로 대체 결정 - 대한민국사 연표
1993년 영화 〈서편제〉, 제31회 대종상 영화제 최우수 작품상·감독상·촬영상·녹음상·신인 남녀 배우상 수상 - 대한민국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