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역사

[오늘의 역사] 3월 13일

aeiin 2025. 3. 13. 07:00

공주 공산성
말죽거리

1624년 이괄의 난이 일어났습니다. 

 

인조반정시 2등 공신으로 책정된 것도 불만인데 아들이 반역죄에 연루되기까지 하니 이괄은 "자식이 역적인데 아비가 무사할성 싶으냐!" 평안도 최정예 병력과 항왜들을 이끌고 한양을 점령하자 인조는 피난길 말 위에서(말죽거리) 죽을 먹어가며 공주 공산성으로 도망갑니다. 이후 난은 정충신에게 진압되고 이괄은 부하들의 배반으로 죽었습니다. 

 

949년 왕이 훙서함 - 고려사절요

1052년 태사들에게 역서를 편찬하게 하여 다음 해의 재난과 상서에 대비하도록 함 - 고려사

1232년 몽고의 요구에 따라 배 30척과 선원 3천 명을 보냄 - 고려사

1295년 임익 등에게 원 세조의 사적 찬수를 명령함 - 고려사

1394년 고려 종실을 제거하는 중에 왕화·왕거 등도 처형됨 - 조선왕조실록

1399년 각 도 선군(船軍)을 감축함 - 조선왕조실록

1399년 집현전을 활성화하기 위해 조준·권근·이첨 등을 제조관으로 임명함 - 조선왕조실록

1411년 찰방을 각 도에 보냄 - 조선왕조실록

1419년 흙비가 내림 - 조선왕조실록

1429년 악기 편종을 만듦 - 조선왕조실록

1479년 중국 벼를 시험 경작함 - 조선왕조실록

1488년 성종이 모화관에 이른 명나라 사신을 맞이함 - 조선왕조실록

1496년 폐비 윤씨 묘를 천장(遷葬)하도록 함 - 조선왕조실록

1497년 명나라와 궁각(弓角) 사무역을 금함 - 조선왕조실록

1597년 이순신 처벌을 대신들과 의논함 - 조선왕조실록

1623년 인조가 즉위함 - 조선왕조실록

1722년 청천강 남북에 5개 영을 설치함 - 조선왕조실록

1727년 왕세자의 가례로 전국에 금혼령을 내림 - 조선왕조실록

1735년 훈련대장 장붕익 죽음 - 조선왕조실록

1774년 역비·사비의 공물을 탕감하고 무녀에게 받는 베를 탕감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92년 인정전에서 문과 전시를 시행하고 춘당대에서 무과 전시를 실시함 - 조선왕조실록

1795년 춘당대에 거둥하여 문·무과의 전시를 행함 - 조선왕조실록

1846년 중시 문·무과가 실시됨 - 조선왕조실록

1811년 성리학에 관계되는 책자를 많이 간행하여 각 도에 비치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822년 과거장을 혼잡하게 한 죄인과 관리를 처벌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864년 곡가 앙등에 각 도의 독자적인 방곡령 실시 엄금 - 근대사 연표

1887년 조선 전보 총국(총판 홍철주) 설치, 독자적인 전신 사업 관할 - 근대사 연표

1919년 간도 용정촌, 3·13 만세 운동 전개 - 근대사 연표

1925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의정원, 이승만 〈임시 대통령 탄핵안〉 상정(3.23. 통과) - 근대사 연표

1937년 경성 중앙 전화국, 7월 1일부터 전화 도수제(電話度數制) 실시 결정 - 근대사 연표

1940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전 국무총리 이동녕(1869~1940), 중국 쓰촨성(四川省)에서 사망 - 근대사 연표

1946년 조선 문필가 협회(위원장 정인보) 발족 - 대한민국사 연표

1958년 변호사들, 전국 변호사 대회 개최. 대법원장 임명 제청권 삭제한 법안에 반대 - 대한민국사 연표

1970년 한국은행, 1960년대 경제 성장률 연평균 8.6%라고 발표 - 대한민국사 연표

1975년 한국 기자 협회, 언론 자유 투쟁 위원회(회장 김병익) 구성 - 대한민국사 연표

1978년 4만 5천 명의 비리 공무원 적발(전체 공무원의 8.9%) - 대한민국사 연표

1980년 국방부 계엄 보통 군법 회의, 내란 방조죄로 정승화 전 육군 참모 총장에게 징역 10년 선고 - 대한민국사 연표

1986년 1978년 납북된 최은희·신상옥 부부, 북한에서 오스트리아 빈으로 탈출, 미국 대사관에 신변 보호 요청 - 대한민국사 연표

1988년 현대그룹 노조 연합, 현대그룹 노조 탄압 규탄 및 결의 대회 개최 - 대한민국사 연표

1996년 대검찰청, 재벌로부터 수천만 원 수수 혐의로 공정 거래 위원회 독점 국장 구속 - 대한민국사 연표

1998년 경제학자 211명, 경제 선진화·경제 위기 극복 위해 금융 실명제 부활 요청 - 대한민국사 연표

2002년 한국 정신대 문제 대책 협의회,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수요 집회' 500회 맞아 일본에게 사과 촉구 - 대한민국사 연표

2003년 해군 사관 학교, 최초로 여성 장교 21명 배출 - 대한민국사 연표

2006년 대검찰청, 외환은행 헐값 매각 의혹 사건 수사 착수 - 대한민국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