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역사] 12월 3일
668년 고구려가 멸망하였습니다.
고구려 대막리지 연개소문의 대당강경책은 당나라 태종, 고종과의 대결을 불가피하게 만들었습니다. 당나라의 공격만 있었다면 충분히 이겨냈을 고구려였지만 백제가 멸망한 이후 몰려오는 나당연합군의 공격은 고구려를 벅차게 했습니다.
연개소문이 죽지만 않았다면...
연개소문의 큰아들 연남생이 조국을 배반하지 않았다면...
- 황현필 역사 일력 발췌 -
1129년 동교에서 대규모 열병을 거행함 - 고려사
1280년 김방경을 정일본도원수에 임명하고 일본정벌에 나섬 - 중국사서
1344년 기철을 하정사로 원에 보냄 - 고려사
1396년 문하 우정승 김사형 등이 일기도·대마도를 정벌하러 출발함 - 조선왕조실록
1415년 한성부에서 호구 작성 형식을 정함 - 조선왕조실록
1417년 풍해도를 황해도로 고침 - 조선왕조실록
1426년 《속육전》과 《등록》을 편찬함 - 조선왕조실록
1429년 통신사 박서생이 일본의 사정을 보고함 - 조선왕조실록
1443년 과거의 강경(講經) 방식을 정함 - 조선왕조실록
1508년 신복의(辛服義)와 동청례(童淸禮) 등을 모반죄로 처형함 - 조선왕조실록
1510년 왜구 때문에 중지했던 사가독서(賜暇讀書)를 다시 시행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600년 임진왜란 이후의 누락된 역사를 기술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628년 광해군 대 혁파된 감목관을 다시 둠 - 조선왕조실록
1691년 북한산에 축성을 결정함 - 조선왕조실록
1732년 재해 지역의 환곡 상환을 정지시킴 - 조선왕조실록
1736년 승지들에게 《경국대전》의 형옥·전곡에 대한 일을 고찰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55년 명나라 사람의 자손을 등용하게 함 - 조선왕조실록
1770년 경과 정시를 실시하여 신대승 등 15인을 선발함 - 조선왕조실록
1784년 청나라에서 세자 책봉을 허락하는 칙사가 옴 - 조선왕조실록
1793년 기린과 비슷한 짐승이 원주 명봉산에 나타남 - 조선왕조실록
1813년 제주도에서 양제해의 거병 모의에 대해 급히 장계함 - 조선왕조실록
1818년 관상감에서 《서운관지》 4편을 간행함 - 조선왕조실록
1843년 납세를 재촉하다 사람을 죽인 경주 부윤을 귀양 보냄 - 조선왕조실록
1894년 동학 농민군 거두 김개남, 전북 태인에서 관군에 체포됨 - 근대사 연표
1904년 이준·윤효정 등, 공진회 설립 - 근대사 연표
1908년 YMCA 회관 개관 - 근대사 연표
1909년 일진회, 비상 임시 총회를 열고 〈한일 합방 건의 성명〉 채택 - 근대사 연표
1921년 권덕규·장지영·김윤경 등, 조선어 연구회(조선어학회 전신) 조직 - 근대사 연표
1931년 상해 한인 반제 동맹, 창립 대회 개최 - 근대사 연표
1946년 〈대학 설립 기준령〉 제정 - 대한민국사 연표
1952년 유엔 총회, 6·25전쟁 포로의 중립국 이송 가결 - 대한민국사 연표
1957년 외무부 장관, 미국의 원조 감액 부당·중립국 원조 비난 성명 - 대한민국사 연표
1968년 『신동아』 10월호 관련 동아일보 기자 등 연행, 심문·천관우 주필 홍승면 주간 등 구속 - 대한민국사 연표
1970년 서울 형사 지법, 동두천 마약업자 부부 살해 미군에 첫 사형 선고 - 대한민국사 연표
1973년 동아일보 기자들, 〈언론 자유 수호 제3선언문〉 채택 - 대한민국사 연표
1990년 서울대 김수행 교수, 마르크스의 『자본론』 6년 만에 5권으로 완역 - 대한민국사 연표
1997년 제 통화 기금 양해 각서 체결 - 대한민국사 연표
1999년 서울대학교, 비운동권 출신 학생 회장 당선 - 대한민국사 연표
2002년 김대중 대통령, 〈한·미 주둔군지위협정〉 개선 지시 - 대한민국사 연표
2002년 이회창·노무현·권영길 대선 후보, 정치 분야 텔레비전 합동 토론 - 대한민국사 연표